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완월회맹연 / 玩月會盟宴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80권 180책(또는 180권 93책). 국문 궁체 필사본. 이 작품에 나타난 사상은 철저한 유교사상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한결같이 그들 스스로를 유가라 일컫고 있고, 또 그렇게 행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불교를 가리켜

  • 완주가 / 翫珠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 나옹화상(懶翁和尙)혜근(惠勤)이 지은 불교가요. 7언 기조 60구이며, 한문으로 되어 있다. 「백납가(百衲歌)」·「고루가(枯髏歌)」와 함께 ‘나옹삼가(懶翁三歌)’로 일컬어졌으며,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에 함께 수록되어 전한다. 후대에 불광산(佛光山)대

  • 왕경룡전 / 王慶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본. 이본으로 「왕어사경룡전(王御史慶龍傳)」·「청류지열녀(靑樓之烈女)」 등이 있다.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기생과의 애정관계를 다룬 작품이다. 작품의 시대배경이 명(明)나라 가정연간(嘉靖年間)으로 되어 있고, 중국 소설과의 연관성으로 보

  • 왕모대가무 / 王母隊歌舞 [예술·체육/무용]

    고려 문종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고려사』에 의하면, 1077년(문종 31) 2월 연등회에 임금이 중광전(重光殿)에 나아가 음악을 감상할 때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초영(楚英)이 처음으로 추었다고 한다.일대(一隊)는 55명이고, 춤은 네 글자[四字]로

  • 왕미행설화 / 王微行說話 [문학/구비문학]

    왕이 평복으로 변장하고 민간에 다니면서 능력 있고 선량한 사람을 발천(發闡)하게 하는 내용의 설화. 이 설화에는 가난한 선비를 발천하는 내용의 「무와지탄(無蛙之歎)이야기」와 「빙빙이연자이야기」가 있으며, 효부설화로 「상가승무노인곡(喪家僧舞老人哭)」이 있고, 복이 없어

  • 왕비호전 / 王飛虎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본으로 「왕장군전(王將軍傳)」이 있으며, 내용은 동일하다. 주인공 왕장군의 영웅적 활약상을 그린 영웅소설이다.「왕비호전」의 시대배경은 혼란한 중국 조정과 주위의 여러 오랑캐들의 끊임없는 충돌상황으로 설정되어 있다.

  • 왕소군원가 / 王昭君怨歌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가사. 총 140구.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한나라 원제(元帝) 때의 궁녀인 절세미녀 왕소군(王昭君)의 고사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내용은, 원제는 자신의 시중을 들 궁녀를 취택할 때 언제나 화

  • 왕시전 [문학/고전산문]

    작가 연대 미상의 남녀이합형(男女離合型) 한글 고전소설.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 이면에 「설공찬전」 「왕시봉전」 「비군전」 「주생전」과 함께 필사되어 있다. 이들 작품들을 고려할 때, 「왕시전」은 고전소설 초기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총 12쪽 정도의 짧은 분량

  • 왕십붕기우기 / 王十朋奇遇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중국 원나라의 희곡 「형차기(荊釵記)」를 개작한 작가 미상의 한문소설. 『신독재수택본전기집(愼獨齋手澤本傳奇集)』으로 불리는 소설집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는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 이면에 필사되어 있는, 한글본 「왕시봉뎐」이 있다. 「왕시봉뎐」이 「형

  • 왕현전 / 王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왕현전」은 주인공 왕현의 영웅적 활약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대개 영웅소설은 혼사장애를 극복하는 결연담과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는 무용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도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결연담보다는 무용담이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