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유백아종자기금삼음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거문고를 매우 잘 탔다는 백아가 자신을 알아주는 참다운 벗이 없음을 슬퍼해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중국의 백아절현(伯牙絶絃) 고사를 소재로 소설화한 작품이다. 소재가 된 이야기는 부분적으로 『열자(列

  • 유산가 / 遊山歌 [문학/고전시가]

    십이잡가(十二雜歌)의 하나. 첫머리는 화사한 봄 햇살과 꽃이 만발한 산천경개를 구경가자는 데에서 비롯된다. 경치를 완상하는 풍류객의 모습은 죽장(竹杖)·마혜(麻鞋)의 단표자(單瓢子)로 묘사되어 있다. 산에 들어가자 기화요초는 송죽이 울울한 데 피어 있으며, 제비·복사꽃

  • 유삼각산기 / 遊三角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정구(李廷龜)가 지은 삼각산 기행문. 그의 저서 『월사집 月沙集』 권38 기(記) 하(下)에 실려 있다. 작자는 이 글을 쓴 동기에 대하여, 자신이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온 뒤 항상 마음이 쓸쓸하고 즐겁지 않아, 이를 달래고자 삼각산에 오르게 된 것이라고

  • 유생대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신해년에 이동임에 의하여 필사되었다. 남녀주인공의 결연담과 남자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상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 유생이 혼사장애를 극복하고 국가를 위기에서 건져내는 내용을 가진 전형적인 영웅소설이다.

  • 유생전 / 劉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1권 1책(68면). 필사본. 「유생전」은 ‘혼사 장애와 그 해결’이 중심 내용이 된다. 혼사 장애는 ‘황제와의 대립’, ‘달목과의 대립’으로 인해 야기된다. 작가는 혼사 장애로 인한 갈등의 정도를 작품이 진행될수록 높인 후, 죽음이라는

  • 유서석록 / 遊瑞石錄 [문학/한문학]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제봉집(霽峰集)』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1574년(선조 7) 초여름에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證心

  • 유선사 / 遊仙詞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87수의 연작시(連作詩)로 작자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허균(許筠)이 공주목사로 재직하던 1608년 4월에 간행한 목판본 『난설헌집』에 실려 있는데, 무려 2,436자에 이르는 선시어(仙詩語)로 묘사한 대작이다

  • 유선쌍학록 / 遊善雙鶴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7권 7책. 국문필사본. 18회로 나뉘어 있는 회장(回章)체 소설로, 가정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반에는 적모가 서자를 모해하는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반에는 주로 일부다처생활에서 빚어지는 쟁총담(爭寵譚)으로 구성되

  • 유속리산기 / 遊俗離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남몽뢰(南夢賚)가 지은 기행문. 저자가 1592년(선조 25)에 율봉우관(栗峰郵官)으로 부임한 뒤에 몇몇 사람과 일행이 되어 속리산을 구경하고 나서 그 경치를 쓴 것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정봉에 오르니, 봉우리는 하늘 위에 우뚝 솟았고, 그 밑에는

  • 유송경기 / 游松京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협(金昌協)이 지은 기행문. 그의 문집인 『농암집(農巖集)』 원집 권23에 수록되어 있다. 「유송경기」는 6박7일간 개성의 고적을 답사한 여정을 시간 순으로 기록한 것이다.「유송경기」는 추보식(追步式) 노정순(路程順)으로 서술되었다. 묘사가 사실적이어서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