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손우집 / 遜愚集 [종교·철학/유학]

    홍석의 문집. 석판본, 서:전우(1921). 곽종석(1911). 홍가상(1714),후서:홍거성(1751), 발:송근수(1889), 8권3책. 본 문집은 소화 8년(1933)에 홍사효를 발행자로 하여 간행되었다. 권1∼2에는 173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소

  • 손자 / 孫子 [언론·출판/출판]

    주(周)의 손무(孫武)가 편찬한 병서. 1권 상·중·하로 내용은 1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자(吳子)와 함께 무경칠서의 하나이다. 권상에는 시계·작전·모공·군형·병세 등 5편이, 권중에는 허실·군쟁·구변·형군 등 4편이, 권하에는 지형·구지·화공·용간 등 4편이 수

  • 손재집 / 巽齋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박치화(朴致和) 저, 김충현(金忠顯) 첨, 석인본, 한국한시협회, 1975, 3권 1책. 밀성(密城) 박치화(朴致和)의 문집이다.

  • 솔암유고 / 率菴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조륜(趙綸)의 시집. 서문·발문에 의하면, 그는 한때 이여(李畲)의 문하에서 수학한 것으로 보이며, 시로 이세원(李世愿)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고 한다. 저자의 인적사항에 관해서는 이밖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이 책은 1739년(영조 15) 이세

  • 송간집 / 松澗集 [종교·철학/유학]

    황응규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1927. 문집 3권 중 2권이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시 253수, 권2에는 129수 등 모두 382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서문은 없다. 권3의 소는 2편으로, 단양군수로 재직 중일 때 올린 진폐소와 임진왜란 때 군량

  • 송강가사 / 松江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인 정철의 가사와 시조를 수록한 시가집.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으나 온전하지 못하다. 목판본으로 황주본·의성본·관북본·성주본·관서본의 5종류가 알려져 있다. 이 중 의성본과 관북본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 송강집 / 松江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문학가 정철(鄭澈)의 시문집. 11권 7책. 목판본. 『송강집』의 원집 권1은 시 234수, 권2는 잡저 6편, 소차(疏箚) 5편, 화곡유고(華谷遺稿)로 되어 있다. 그리고 1632년 봄에 장유(張維)가 쓴 후서(後序)와 이듬해에 김상헌(金尙憲)이

  • 송계만록 / 淞溪漫錄 [언론·출판]

    저자 임규직(1811-1853). 필사본. 1권 1책. <송계만록> 권2에는 총 15편의 한문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내제에는 "금천집"이라 하였고 "정해년삼월, 서우심교"라고 하여 이 책의 간사년을 확인할 수 있다. 책 구성은 증서 1편, 서문 1편, 서간문 7편,

  • 송계집 / 松溪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권응인(權應仁)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아버지는 희맹(希孟)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한리학관(漢吏學官)을 지냈고, 1562년(명종 17) 일본 사신이 왔을 때 선위사(宣慰使) 일행의 한 사람이 되어 그들을 맞았다. 시문에 능하여 당시

  • 송고집 / 松皐集 [종교·철학/유학]

    송정흠의 시문집. 4권2책. 목판본. 아우 송계흠과 아들 송위익이 정리, 1923(임시정부 5)년에 간행하였다. 권일에는 46제68수의 시가 실려 있다. 권이에는 편지 32편과 잡저 6편, 잠 1편, 명 1편, 기 1편, 식 1편, 제문 12편. 부록 권일에는 정장 7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