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소재집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변종운(卞鍾運)의 시문집. 7권 3책. 연활자본. 1950년 손자 춘식(春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유원(李裕元)·홍현보(洪顯普)·이재원(李載元)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한경중(韓敬重)·춘식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은 시초(詩鈔)와 문초(

  • 소정유고 / 巢汀遺稿 [종교·철학/유학]

    고덕림의 문집. 석판본, 서: 장병규(1980), 발: 고호림(1979), 4권 2책. <소정유고>는 20세기 근대 한학자인 고덕림의 시문집이다. 고호림이 발문을 짓고, 장병규에게 부탁하여 서문을 짓게 했다. 권1은 시 40제 69수가 있고, 만사는 15제 21수, 부

  • 소주집 / 小洲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홍직영(洪稷榮, 생몰년 미상)의 문집. 58권 29책(이 가운데 14권 7책이 결본이다). 필사본. 서발이 없어 간행경위 등은 자세하지 않다.『소주집』 권1은 부(賦) 8편, 권2는 시 219수, 권3∼6은 결본, 권7∼24는 시 2,870수, 권25

  • 소천소지 / 笑天笑地 [문학/구비문학]

    1918년 신문관에서 발행한 소담집(笑譚集). 이 책은 1912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개권희희(開卷嬉嬉)·절도백화(絶倒百話)』 합집에 수록된 소담 총 200편을 순서를 달리하여 재수록하고 그 밖에 20여 편의 소담을 추가한 것이다. 이 책에는 내용 목록이 따로 없으며,

  • 소파여사시집 / 小坡女士詩集 [문학/한문학]

    개화기의 여류시인 오효원(吳孝媛)의 시집. 양장본 1책. 활자본. 본문은 상·중·하 3편으로 분할 편집하였는데, 그 작품내용은 오언절구 79수, 칠언절구 196수, 오언·칠언고시 8수, 오언율시 33수, 칠언율시 118수, 그리고 소체(騷體)라 하여 사(辭) 1편과 가

  • 소학 / 小學 [언론·출판/출판]

    중국의 서적명으로 유자징(劉子澄)이 주희(朱熹)의 가르침을 받아 편찬한 책. 『소학(小學)』은 소아들에게 예의·범절을 가르치기 위하여 고서 중에서 가언선행(嘉言善行)을 뽑아서 편찬된 책이다. 내편(內篇)에는 입교(立敎)·명륜(明倫)·경신(敬身)·계고(稽古), 외편(外

  • 소학대문구결 / 小學大文口訣 [언어/언어/문자]

    어린이를 위한 유교의 수신서인 『소학』의 대문, 곧 본문에 차자표기(借字表記)로 구결을 단 책. 이인영(李仁榮)이 소장하였던 권3 1책이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에 소개되어 비로소 알려졌으나, 그 책은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 소개에 의하면, 경자자로 세종 때 간

  • 소학언해 / 小學諺解 [언론·출판/출판]

    주자《소학》을 한글로 번역한 책. 6권 4책. 1586년(선조 19) 교정청에서 처음으로 간행, 이를 저본으로 몇 차례의 재간행이 이루어졌다.《소학》의 규범과 윤리를 몸에 익혀 실천함으로써 학문이 시작된다고 보았다. 중종 때《소학》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고《구결소학》,

  • 소학절요 / 小學節要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31.3×24.5cm이다.

  • 소학제가집주증해 / 小學諸家集註增解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1.9×20.9cm, 반곽은 22.6×17.6cm이다. 표제는 소학(小學), 판심제는 소학집주증해(小學集註增解)이다. 명(明)나라의 하사신(何士信)이 편찬하였고, 권수는 1권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