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백치유집 / 百癡遺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정사화(鄭思和)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29년 정사화의 아들 정훈석(鄭薰錫)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의 서문과 권말에 이후(李垕)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52수, 서(書) 15편, 기(記) 1편, 잡저 4편,

  • 백패식 / 白牌式 [정치·법제/법제·행정]

    소과, 즉 생원·진사시의 합격자에게 수여하는 합격증서. 백색용지에 구관(具官)·성명(姓名)과 생원(生員)·진사(進士)의 구분, 성적 순위를 기록하였고 홍패(紅牌)의 경우와 같이 교지의 형식을 따랐다. ‘과거지보(科擧之寶)’를 찍었다.

  • 백호집 / 白湖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임제(林悌)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백호집』은 원래 아우인 환(懼)이 출간하려고 이항복(李恒福)이 선정(選定), 편차(編次)하여 서문까지 썼으나 뜻대로 안 되었다. 임제의 종제(從弟)인 서(㥠)가 1621년(광해군 13) 함양군수로 있을

  • 번역노걸대 / 飜譯老乞大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전래의 한문본 『노걸대』를 언해한 중국어 학습서. 2권 2책. 한문본 『노걸대』의 원문에 중국어의 음을 한글로 달고 언해한 것으로 『사성통해』(중종 12)보다 앞서 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으나, 현재 전하는 책이 을해자

  • 번역박통사 / 飜譯朴通事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 현재 권상 1책만 전하나『노박집람』의「박통사집람」과 1677년(숙종 3)에 간행된『박통사언해』에 의하여 상·중·하의 3권 3책임이 분명하다. 이 책에는 간기가 없으나, 1517년(

  • 번역소학 / 飜譯小學 [언론·출판/출판]

    1518년(중종 13)에 김전(金詮)ㆍ최숙생(崔淑生) 등이 중국 송나라 유자징(劉子澄)이 편찬한 ≪소학≫을 번역하여 언해한 책. 10권 10책. 목판본. ≪소학집성≫을 저본으로 하여 10권이 되었다. 남곤의 발문에 간행 경위가 자세히 적혀있다. 남곤의 발문에 광인유포

  • 번와집 / 樊窩集 [종교·철학/유학]

    김용규(1892~1964)의 시문집. 석인본, 발:고영학(1968), 4권2책. 고영학의 발문을 받아 1968년에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1책과 2책 첫머리에 그 책의 목록이 실려 있다. 권1에는 87제 139수의 시와 서 20편, 권2에는 서 33편과 기 10편,

  • 범망경 / 梵網經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계율을 적은 경전. 구마라습이 한역하였다고 전하나 중국에서 지은 것이라는 설도 있다. 범어 원본은 120권 61품으로 되었으나, 한역본은 그 중에서 심지계품만을 번역한 것이다. <범망경>은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수행자의 계율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일반

  • 범위수 / 範圍數 [종교·철학/유학]

    우주 생성의 수를 풀이한 책. 저자와 편집시기는 미상이다. 범위는 <주역> 계사에 나오는 '범위천지지화'라는 구절에 따온 말로 범은 종과 횡이며, 위는 둘레이다. 대자연의 음양과 수리를 설명하고 끝부분에서 인간운명의 길흉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권상은 <도식문>, <기

  • 법구경 / 法句經 [종교·철학/불교]

    인도의 법구가 편찬한 경전. BCE 4세기에서 3세기경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아함 12부경에서 석가의 가르침을 뽑아내어 만든 경전이다. 무상품에서 길상품까지 26품 500게로 구성되어 있다. 불교의 교리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 있으며 실제생활과 밀접한 관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