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단행본 1,38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단행본
  •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청평산 문수사에서 다비에 대한 의식문과 절차를 정리하여 1542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1책. 편찬자는 미상이다. 1542년(중종 37) 강원도 청평산 문수사(文殊寺)에서 개판(開板)하였다. 내용은 앞부분에 천수경(千手經)·사자단작법(使者壇作法)·제불통청(諸

  •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해인사에서 정행이 다비에 대한 의식문과 절차를 정리하여 1882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1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해인사에서 간행되었다. 권말에 봉기(鳳機)의 발문이 있고 부록으로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와 「승속오복도(僧俗五服圖)」가 있다.

  • 다비설 / 茶毘說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다비의식을 선의 입장에서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조선 말기의 조계종 승려였던 백파 긍선의 저술서로, 「삭발편(削髮篇)」을 시작으로 「소석회송(燒席灰頌)」까지 2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비의식을 다룬 것이지만 의례집은 아니며, 다비의식을 선(禪

  • 다신전 / 茶神傳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의순이 청나라의 모환문(毛煥文)의 『만보전서』에 실린 「다경채요」를 1830년에 필사한 초록집. 다도서. 조선 후기의 승려이자 다인(茶人)이었던 초의 의순이 청나라 모환문(毛煥文)이 엮은 『만보전서(萬寶全書)』에 실린 「다경채요(茶經採要)」에서 초록한

  • 단곡경험방초 / 丹谷經驗方抄 [과학/의약학]

    조선후기 의관 이진태가 신체 각 부분에 발생하는 질병의 치료법을 수록한 의서. 1책. 필사본. 표지에는 ‘丹經壬午錄(단경임오록)’이라고 쓰여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은 신체 각 부위의 크기 등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 부분에서 생기는 질병에 대하여 ‘단방(單方

  • 단군고기 / 檀君古記 [역사/고대사]

    단군신화와 고조선의 개국사실을 기록한 역사서. 이 『고기』는 『제왕운기(帝王韻紀)』·『응제시주(應製詩註)』·『세종실록』 지리지에도 거의 비슷하게 인용되었다. 다만, 『제왕운기』에는 단군신화가 『본기(本紀)』의 인용인 것으로 되어 있는데, 환웅천왕이 손녀로 하여금 약을

  • 단군교부흥경략 / 檀君敎復興經略 [종교·철학/유학]

    일제강점기 단군교를 포교할 목적으로 그 대강·전말 등을 기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교리서. 불분권 1책 82장. 신연활자본. 1937년 김재웅(金在雄)의 교열을 거쳐 정진홍(鄭鎭洪)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병한(閔丙漢)·정두화(鄭斗和)의 서문과 정훈모(鄭薰

  • 단군교포명서 / 檀君敎佈明書 [종교·철학/대종교]

    1909년 대종교의 중광(重光)에 사용된 대종교서. 교리서. 초대 도사교(都司敎: 敎主) 나철(羅喆)이 민족을 위하여 일본정부 요로와 담판하고자 일본 동경(東京)에 가 있을 때인 1908년 12월 5일 아침, 한 노인이 숙소로 찾아왔다. 그리고는 「단군교포명서」 1부

  • 단군세기 / 檀君世記 [역사/고대사]

    1363년 이암이 단군조선에 관해 저술한 역사서. 연대기. 계연수(桂延壽)의 ≪환단고기 桓檀古記≫에 수록되어 있다. 일찍이 이암은 고려시대 ≪진역유기 震域遺記≫를 저술한 이명(李茗)과 ≪북부여기 北夫餘記≫의 저자 범장(范樟) 등과 더불어 경기도 양주 천보산(天寶山)에

  • 단기고사 / 檀奇古事 [역사/고대사]

    719년 발해의 시조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이 탈고한 것으로 전해지는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에 대한 역사서. 연대기. 원문은 발해문이었다고 하며 약 300년 뒤 황조복(皇祚福)이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현재의 국한문본은 1959년정해박(鄭海珀)이 한문본을 다시 번역한 것이라

페이지 / 1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