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단행본 1,38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단행본
  • 농고문집 / 聾瞽文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황박(黃圤)의 시문집. 상하권 1책. 목활자본. 이 책은 1911년 그의 6대손인 희수(熙壽)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과 권말에 장승택(張升澤)의 발문이 있다. 권상은 시 115수, 서(書) 3편, 기 2편, 발 1편, 잠

  • 농눌재유고 / 聾訥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변태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1책. 석인본. 1939년에 후손 두성(斗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탁(崔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7대손 홍묵(弘默)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연보에 이어 시 1

  • 농담 / 農談 [경제·산업/산업]

    1894년(고종 31) 이종원(李宗遠)이 저술한 농업기술서. 방조제(防潮堤)나 제방 축조 및 도수법(導水法) 등에 관한 내용을 주로 기술한 것이다. 제방 축조에 관한 전문 기술서적으로는 우리 나라 현존 농서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농업토목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 농묵집 / 聾默集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승려 법린의 시·문·부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교시문집. 필사본. 1권 1책. 『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실려 있다. 시 55편·문 4편·부록 1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에는 법린의 행장과 교유하였던 조선 말기의 문사와 관료들이

  • 농사직설 / 農事直說 [경제·산업/산업]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변효문(卞孝文)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 1책. 1429년(세종 11)에 관찬(官撰:정부에서 편찬한 책)으로 간행하여 이듬해 각 도의 감사와 주·부·군·현 및 경중(京中)의 2품 이상에게 널리 나누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뒤

  • 농서총론 / 農書總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남원유생 조영국이 정조의 「권농정구농서윤음」에 응하여 1799년에 저술한 농업서. 1책.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농업의 근본을 천시(天時)·지리(地利)·인사(人事)·수공(水功)·부종(付種) 등 다섯가지로 여기고 이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천시」에서는 천시

  • 농아집 / 聾啞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이지함이 『토정비결』을 만들 때 그 원리와 적용법을 밝히기 위하여 편찬한 도참서. 1권 1책. 필사본. 간행 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권두에 1624년(인조 2)에 쓴 이운하(李運夏)의 서문이 있다. 이 책은 책수기례(策數起例)·팔문정례(八門定例)·

  • 농암선생사단칠정변 / 農巖先生四端七精辨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의 사단칠정에 관한 견해와 제자였던 어유봉의 『농암선생어록』을 동시에 수록한 유학서. 조선 성리학을 정초시킨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에 관한 논의를 절충한 김창협의 견해 및 그의 학문이나 출처, 유가경전의 주요 구절에 대한 해석 등을 폭넓게 제

  • 농연선생어록 / 農淵先生語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과 김창흡의 「삼연어록」을 수록한 언행록. 김창협의 어록인 「농암선생어록」과 동생 김창흡의 어록인 「삼연어록(三淵語錄)」을 같은 책에 수록함으로써, 두 학자의 학문과 사상을 연계시켜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농암선생어록」은 김창협이 제자

  • 농포문답 / 農圃問答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상기(鄭尙驥)가 저술한 농서. 1권 1책. 필사본. 정상기는 실학자로 실학자 이익(李瀷)과는 인척간이다. 일찍이 동국지도(東國地圖)가 정확하지 않다 하여 여러 해 동안 전국 각 지방을 두루 탐방한 끝에 우리 나라 최초의 축척지도를 제작하였고, ≪인

페이지 / 1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