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삼승할망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이 본풀이는 꽃 가꾸기 경쟁에서 이긴 신이 산육신, 곧 ‘생(生)의 신’이 되고, 진 자는 죽음의 신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삶의 신인 이승의 신과 죽음의 신인 저승의 신이라는 대립 구조에서 삶의 신의 승리로 결말 짓는 산신신화(産神

  • 삼악산 / 三嶽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춘천시 서면과 신동면에 걸쳐 있는 산. 삼악산 산록에는 도로를 따라 금성사·등선폭포(登仙瀑布)·신흥사(新興寺) 등이 있으며, 능선을 오르면 대원암(大院庵)·상원사(上院寺)·흥국사(興國寺) 등 오래된 사찰이 있다. 산정에 오르면 의암호(衣巖湖)나 춘천시가 내려다보

  • 삼월총파업 / 三月總罷業 [사회/사회구조]

    1947년 3월 22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의 ‘남조선해고폭압반대투쟁위원회’가 전국적인 ‘24시간 총파업투쟁’을 벌인 사건. 1946년 9월 전평이 주도한 총파업은 임금 인상과 생활 개선 요구에서 남한 지역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정치적 파업으로 전개

  • 삼육재활센터 / 三育再活─ [사회/사회구조]

    지체장애인의 전인재활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952년 6월 12일 민영재(閔泳在)가 전쟁과 빈곤으로 버려진 지체장애 아동들의 복지를 위하여, 정부에서 수용보호시설 허가를 얻어 용산구 용문동에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단순한 지체장애 아동의 수용보호를 목적으로

  • 삼일밤나무 / 三一─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호만포리에 있는 밤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23호. 삼일밤나무는 호만포리 동쪽 감후봉의 남쪽 기슭에 퍼져있다. 밤나무는 3·1운동 때 이곳 주민들이 독립만세를 부르고 그것을 기념하여 심었다고 한다. 밤나무밭은 3·1이라는 글자처럼 보

  • 삼일재현운동 / 三一再顯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948년 북한의 천도교인들이 남북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벌인 운동. 1947년 8월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통일을 염원하던 천도교 원로들은 인구비례로 총선을 실시하여 통일정부를 수립한다는 유엔 결의를 찬성하고 유엔 한국위원단의 내한을 환영하였다. 그러나 북한측

  • 삼일포 / 三日浦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리에 있는 호수. 삼일포의 면적은 0.79㎢, 둘레는 5.8㎞, 길이는 1.8㎞, 너비는 0.4㎞, 집수구역면적은 1.775㎢이다. 수면이 맑고 기괴한 암석과 36봉이 호수에 비치어 절경을 이룬다. 예로부터 우리 나라 호수 중 제일 경색이 아름다운

  • 삼전향나무 / 三田香─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삼전리에 있는 향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69호. 향나무는 주렴동 마을 어귀에 있다. 주변에는 집들과 논벌이 있고 동쪽 멀지 않은 곳에 황주천이 흐르고 있다. 향나무가 자라는 곳의 토양은 충적토이며 메흙이고 토심이 깊고 거름기가 많으

  • 삼족 / 三族 [사회/가족]

    부계·모계·처계 친족을 통틀어 부르는 친족용어. 삼족은 본래 아버지·아들·손자를 말하거나, 또는 아버지의 형제자매, 자기의 형제자매, 아들의 형제자매를 이르는 동성삼족(同姓三族)을 뜻했으나, 고려 후기부터는 대체로 이성삼족(異姓三族)까지 뜻하고 있다. 이성삼족은 종족(

  • 삼종지도 / 三從之道 [사회/가족]

    근대 이전 유교 문화권에서 통용되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명시한 도덕규범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삼종(三從)이란 “결혼하기 전에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예기(禮記)』 「교특생(郊特牲)」과 『의례(儀禮)』 「상복전(喪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