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정재로 / 丁載老 [종교·철학/유학]

    1731∼1802(영조 7∼영조 7). 고조는 시옥, 증조는 도명, 조부는 희신, 부친은 지익이다. 어머니는 홍덕상의 딸이다. 생부는 지겸, 생모는 김홍렬의 딸이다. 1731년(영조 7) 4월 1일에 태어났고, 지익의 뒤를 이었다. 1756년(영조 32) 진사시에 합

  • 정재원 / 丁載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2). 어려서부터 문학에만 힘쓰고 재물에는 뜻을 두지 않았다. 일찍이 광주의 세과에 부방하였는데, 당시 광주유수 이종성으로부터 글의 뛰어남과 뜻의 원대함을 인정받았다. 제술이 영조에게 인정을 받고 곧바로 이조의 관직에 임명되었다. 그

  • 정재집 / 定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박태보의 시문집. 본집 9권, 별집 5권, 후집 6권, 합 20권 7책. 목판본. 본집 권1에 장귀편 등 27수의 오언고시, 한식조화자문 등 12수의 칠언고시, 유수락산요 등 28수의 오언율시, 칠언율시 등 96수, 권2에 오언절구 23수, 칠언절구

  • 정재화 / 鄭在和 [종교·철학/유학]

    1754년(영조 30)~1790년(정조 14). 조선 후기 부마. 정철의 후손, 증조는 정구하, 조부는 정유, 부친은 정인환이다. 부인은 청선군주이다. 1766년(영조 42년) 청선군주와 결혼하면서 흥은부위의 칭호를 받았으나, 사헌부지평 홍상성이 정재화가 사람들을 풀

  • 정전 / 正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의 농경지 가운데 휴한 혹은 진황시키지 않고 해마다 경작하는 상경전을 지칭하는 법제적 용어. 1444년(세종 26)의 공법수세제(貢法收稅制)의 제정에 즈음한 때부터였다. 정전이야말로 국가의 전세수입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 대상이었기에 구체적인 규제가 필요했던 것

  • 정절서원 / 靖節書院 [교육/교육]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었던 서원. 1684년(숙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유(宋愉)·박팽년(朴彭年)·송갑조(宋甲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1701년(숙종 27)에 김경여(金慶餘)와 송상민(宋尙敏), 1822년(순조 22)에 송

  • 정제 / 鄭梯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65년(영조 41).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사제이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는 여러 차례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오직 학문 정진에 전념하였다. 학문적으로 교유한 인물로 정중기·정간 등이 있다.

  • 정제두 / 鄭齊斗 [종교·철학]

    1649-1736. 조선 후기의 양명학자.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활동에 전념하였다. 당시 이단시하던 양명학을 고집하여 조선 양명학의 태두가 되었다. 그는 심즉리설에 입각하여 주자학의 성즉리설을 비판했다. 저서로는 <하곡집>이 있다.

  • 정조 / 正祖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제22대 왕(1752∼1800). 재위 1777∼1800년. 1759년 사도세자의 아들로서 세손에 책봉되고, 1762년 요절한 효장세자의 후사가 되어 왕통을 이었다. 1776년 즉위하자 곧 규장각을 설치하여 이로써 인재를 양성하고 문화정치를 추진하는 가운데 정권

  • 정조사 / 正朝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원단에 명나라나 청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동지사·성절사와 더불어 삼절사의 하나이다. 이는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보내던 임시사절이 아니라 정례사행이었다. 이 정례사행은 원래 별도로 엄격히 지켜지다가 1645년(인조 23)부터 피차의 편의를 보아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