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이관 / 李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2∼1791). 1779년(정조 3) 이재의 문집 끝에 있던 홍계희의 이름을 삭제하여 정언 유맹양의 탄핵을 받아 사판에서 제명당하였다. 노직으로 가선대부에 오르고 풍안군에 봉하여졌다. 벼슬은 부총관에 이르렀다.

  • 이관명 / 李觀命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원두표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 이듬해에 익위사세마, 공조정랑, 함열현감, 예조참판,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병산집』1

  • 이관징 / 李觀徵 [종교·철학/유학]

    1618(광해군 10)∼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심, 어머니는 이민환의 딸이다.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승지, 대사헌, 경연관, 보양

  • 이괄의 난 / 李适의 亂 [정치·법제/정치]

    1624년(인조 2) 정월 이괄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 이괄이 인조반정 때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공신으로 책봉되고 더구나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되어 외지에 부임하게 된 데 앙심을 품고 사전에 치밀히 계획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이 종래의 통설이다. 인조는

  • 이광 / 李光 [종교·철학/유학]

    1485-1551. 조선 전기 유학자. 부친은 지성, 모친은 노언진의 딸이다. 김극인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충우, 충준, 사위는 오공건이다.

  • 이광려 / 李匡呂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이참봉집』을 저술한 유학자.실학자. 아버지는 이진수(李眞洙)이다. 그는 인품도 훌륭했고 해박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또 문장이 뛰어나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사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이광려의 문장에 대해서 이만수(李晩秀)는 “국조(國朝) 300년의

  • 이광사 / 李匡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05∼1777). 1755년에 소론 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귀양가서 죽었다. 정제두에게 양명학을 배웠고, 윤순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시·글씨·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를 이룩하여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 저서로《원교

  • 이광우 / 李光友 [종교·철학/유학]

    1529(중종 24)∼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참봉 이잠, 어머니는 이계유의 딸이다. 어려서 백부인 이원에게『소학』을 배웠고, 22세 때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는『죽각문집』이 있다.

  • 이광익 / 李光益 [종교·철학/유학]

    미상∼1811년(순조 11). 벽파로부터 고위 무관 중 윤행임이라고 지목받아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시기에 행 호군이던 이광익은 벽동군에 유배, 윤행임은 예조판서로서 전라감사를 제수받아 당일로 임지로 출발하라는 명을 받은 지 4일만에 강진현 신지도에 유배되었다.

  • 이광적 / 李光迪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717(숙종 43). 조선 후기의 문신. 언충 증손, 아버지는 세미이다. 165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64년(현종 5) 주서를 거쳐 전적·지평·정언·지제교 등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는 함경도사, 함평현감·강릉현감·영월군수·안변부사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