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장봉한 / 張鳳翰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곤, 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적군이 성주를 함락시키고 승 찬희와 찬숙에게 주사를 맡기고 향도로 삼았다. 총병 유정과 의병장 임계영 등이 전세가 불리하다 하여 물러나려

  • 장사 / 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세손위종사의 종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에 각 1인씩을 두었다. 세손위종사는 1448년(세종 30) 당시 세손이었던 단종의 호위와 시종업무를 위하여 처음 설치되었다. 그 뒤 오랫동안 세손이 책봉된 일이 없어 폐지되었다가, 1751년(영조 27)

  • 장산서원 / 章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서원. 1780년(정조 4) 지방 유림의 공의로 이전인(李全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경상도 영천군 임고면 수성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오던 중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

  • 장생보연지무 / 長生寶宴之舞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새로 창작된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1829년(순조 29)효명세자(孝明世子)가 중국 송대(宋代) 기성절(基聖節)에 쓰던 장생보연지악(長生寶宴之樂)의 이름을 따서 지은 정재이다.죽간자(竹竿子)가 무원(舞員)을 인도하여 출퇴장(出退場)하는 춤에는 「

  • 장석전 / 張碩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 작품은 우리 고전소설 가운데에서 매우 독특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을 그리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보다는 오히려 황후가 된 왕소저가 은혜를 갚는 형태를 띤 구출담이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례를 치르는 도

  • 장선징 / 張善澂 [정치·법제/법제·행정]

    1614(광해군 6)∼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목천현령 일(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운익(雲翼)이고, 아버지는 대제학(大提學) 유(維)이며, 어머니는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효종 비 인선왕후 (仁宣王后)의 오빠이다

  • 장성고산서원 / 長城高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 고산리에 있는 서원. 노사(蘆沙)기정진(奇正鎭)이 1878년에 정사(精舍)를 지어 담대헌(澹對軒)이라 이름하고 학문을 강론하던 곳인데 후손들이 1924년에 중건하여 1927년에 고산서원(高山書院)이라 편액을 건 곳이다. 문정공(文靖公)기정진이 주

  • 장신 / 張璶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말손의 후손이다. 1679년(숙종 5) 효렴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되었고, 1691년 학행으로 6품직에 초수되어 개령현감이 되었다.

  • 장안걸식가 / 長安乞食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국문필사본. 모두 380구. 4·4조가 주조를 이룬다. 탁발승이 한개의 표주박을 차고, 삿갓을 쓴 채 혼자 떠돌아다니며 걸식하다가 덕행을 원만히 마친 뒤에 장안대도에 나서니 탁연독존(卓然獨尊)은 나뿐이라고 노래한 작품이다. 또, 인왕산·종

  • 장암서원 / 壯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상망동에 있었던 서원. 1683년(숙종 9)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익한(洪翼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오달제(吳達濟)와 윤집(尹集)을 추가배향하였으며,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묘우(廟宇)·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