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이역죽지사 / 異域竹枝詞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유원(李裕元)이 지은 연작시. 외국의 풍물과 역사를 칠언절구로 노래하고 간략히 주석을 달아두었다. 『임하필기 林下筆記』 권39에 수록되어 있다. 「이역죽지사」는 조수삼(趙秀三)의 「외이죽지사 外夷竹枝詞」와 함께 청나라 우동(尤侗)의 「외국죽지사 外國竹枝詞

  • 이연응 / 李沇應 [종교·철학]

    1818년(순조 18)∼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낙중, 생부는 남연군 이구의 사촌 이화중이다. 1866년(고종 3) 선파유무응제부로 전시에 직부하여 같은 해 별시에서 병과로 급제. 이후 홍문관부수찬·승정원동부승지·이조참의·종정경·이조참판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

  • 이엽 / 李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9∼1788). 1777년(정조 1)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부사과·선조보감찬집랑·전적 등을 거쳐 공조정랑에 이르렀다. 문장·재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주역》에 조예가 깊고, 실학사상에도 관심이 많았다.

  • 이영 / 李栐 [종교·철학/유학]

    1670년(현종 11) 10월 19일∼1735년(영조 11) 5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함, 조부는 이시명이다. 부친은 이융일, 모친은 김초의 딸이다. 부인은 성문하의 딸이다. 백부 이현일이 별세한 후에는 가학이 실추될까 염려되어 두 형과 함께 학문에

  • 이영 / 李泳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시백의 증손, 할아버지는 흔, 아버지는 상윤, 어머니는 허계의 딸이다. 큰아버지 상주에게 입양되었다. 1674년(현종 15) 음서로 후릉참봉이 되고, 곧이어 예빈시봉사를 거쳐 군자감직장을 역임하였다. 그뒤

  • 이영준 / 李榮俊 [과학/과학기술]

    생몰년 미상. 조선 인조 때의 역관(曆官). 진주사(陳奏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두원(鄭斗源)과 함께 예수회 선교사인 로드리게스(Rodrigues, J., 陸若漢)에게 서양과학을 배웠다. 특히 서양식 천문추산법을 배워 그 지식을 조선에 전하였으며, 그들이 가지고 돌아온

  • 이오수 / 李五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83∼1853). 아버지는 종주, 어머니는 유명휴의 딸이다. 1822년(순조 22) 진사시 합격 후 과거를 단념하고 후진양성에 힘썼다. 예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경학연구와 훈고에 심혈을 기울였다. 뜻있는 벗들과 세한계를 조직해 존현과 풍

  • 이옥 / 李沃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창정 증손, 할아버지는 심, 아버지는 관징, 어머니는 최호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즉위증광시에 병과로 급제, 사관, 예조좌랑, 사간원 정언·사헌부지평, 헌납·이조좌랑·응교·사간·우부승지·부제학 등

  • 이완 / 李浣 [종교·철학/유학]

    1602(선조 35)∼1674(현종 15).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수일, 어머니는 이귀년의 딸이다.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한 뒤 평안도병마절도사, 동부승지, 한성우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용 / 李溶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온성현감, 경성현감, 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무안대군(撫安大君)이방번(李芳蕃)의 후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북지방에서 33년간이나 돌면서 영흥·북청·경흥·종성·온성·경성 등지의 현감을 지냈고, 중앙으로 올라와서는 첨정을 지내기도 하였다. 1776년(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