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이전 / 李㙉 [종교·철학/유학]

    1558(명종 13)∼1648(인조 2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수인, 동생이 준이다. 동생 준과 함께 유성룡의 문하에서 이황의 학설을 배웠다. 1603년(선조 36) 사마시에 합격, 세마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인조 때에는 지례현감에 제수되었으나 사

  • 이정 / 李瀞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중현 증손, 할아버지는 무, 아버지는 경성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함안군수 유숭인의 휘하에서 소모관으로 의병을 모집하고 진해·창원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상주목사,

  • 이정 / 李霆 [종교·철학/유학]

    1554(명종 9)∼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묵죽화가. 세종의 현손으로 익주군 이지의 아들이다. 석양정에 봉해졌다. 뒤에 석양군으로 승격되었다. 그의 작품으로는 <죽도>, <우죽도>, <문월도> 등이 전한다.

  • 이정 / 里正 [사회/촌락]

    조선시대 지방행정조직의 최말단 단위인 이의 책임자. 조선 후기에 와서 그 담당자들이 낮은 신분 출신으로 동네의 심부름꾼과 다름없이 되었으므로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군현 이하의 하부조직으로는 면(面)·사(社)·방(坊)·동(洞)·이(里)·촌(村) 등 여

  • 이정구 / 李廷龜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석형 현손, 아버지는 계, 어머니는 김표의 딸이다. 윤근수의 문인이다.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병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시문집으로는 그의

  • 이정국 / 李禎國 [종교·철학/유학]

    1743년(영조 19)∼1807년(순조 7).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이인섭과 모친 유성구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대산 이상정에게서 수학하였다. 1773년(영조 49) 증광시 생원 3등 60위로 합격하였다.

  • 이정귀 / 李廷龜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이계(李啓)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이정귀는 문장으로 이름 높던 가문에서 출생해 가문 내에서의 가르침을 통

  • 이정규 / 李廷圭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43(인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양녕대군 8대손, 원성 증손, 할아버지는 운손, 아버지는 개, 어머니는 윤충남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사마시에 합격, 1627년(인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동부승지에 이르렀다. 일찍이

  • 이정규 / 李鼎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5∼?). 1768년 급제 후 주서가 되자 영조가 비망기를 읽게 하고 《명사강목》, 표피 등을 하사하였다. 교리, 수찬, 승지, 장령, 사간원대사간 등을 거쳐 사헌부대사헌이 되었다. 항상 직위가 바뀔 때마다 낙향하곤 하였다.

  • 이정기 / 李廷機 [종교·철학/유학]

    1613(광해군 5)∼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여해 증손, 할아버지는 광준, 아버지는 민환, 어머니는 홍구상의 딸이다. 좌승지 민성에게 입양되었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참봉을 지내다가, 1648년(인조 26)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