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감사수록 / 憨笥收錄 [종교·철학/유학]

    성재숭의 시문집. 불분권 4책. <古 3428-876> 19세기의 학자 성재숭의 시문집이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19세기 후반에 정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형이정의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는 감은유고이며, 내제는 감사수록(1책), 감사수록(2책)‚ 감은유고(3책

  • 감서 / 監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규장각 내각의 잡직 관원. 정원은 6인, 품계는 정해져 있지 않았다. 결재 처리된 문서나 왕명으로 만들어진 문헌이나 글들을 정리, 보존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 감수재문집 / 感樹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박여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1914년 후손인 박창도(朴昌道)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연시(鄭然時)의 서문과 권말에 정직교(鄭直敎)의 발문이 있다. 8권 5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감영 / 監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관찰사가 거처하는 관청. 충청도 충주(1602년에 공주로 옮김), 경상도의 상주(1601년 대구로 옮김), 전라도의 전주, 황해도의 해주, 강원도의 원주, 함경도의 함흥(1600년 영흥으로 옮김), 평안도의 평양 등에 소재하였다.

  • 감은수록 / 憨隱收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성재숭의 시·실기·행록·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4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권1·2에 시 390수, 권3에 실기 5편, 가전(家傳) 2편, 행록 1편, 유사 2편, 행장 4편, 묘갈명 1편, 묘지명 9편, 묘표 1편,

  • 감은재일고 / 感恩齋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주도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36년 후손인 영복(永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홍락(金鴻洛)의 서문과 권말에 김병린(金柄璘)과 7세손 영린(永麟)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85수, 서(書)

  • 감자 / Solanum tuberosum L [과학/식물]

    가짓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원산지는 칠레·페루 등 남아메리카로, 우리나라에 전래된 경로에 대해서는 북방설과 남방설이 있다. 전래된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1824년과 1825년 사이에 관북에서 처음 들어왔다고 되어 있다. 또, 명천부

  • 감저경장설 / 甘藷耕藏說 [경제·산업/산업]

    연대·작자 미상의 고구마 재배에 관하여 기술한 책. 일설에는 이 책은 ≪종저방 種藷方≫과 같으며, 1813년(순조 13)에 서경창(徐慶昌)이 엮은 것이라고 하나, 내용을 보면 1830년에 신종민(申鍾敏)이 북관육진(北關六鎭)의 경계에서 몇 알의 감자[北藷]를 가져왔다는

  • 감저보 / 甘藷譜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강필리가 고구마의 재배·이용에 관하여 1766년에 저술한 농업서. 우리 나라 최초로 고구마의 재배·이용법을 기술한 책이다. 조선 후기 문헌에 인용되고 있는 『강씨감저보(姜氏甘藷譜)』를 가리킨다.유중림(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권1 치농(治

  • 감저신보 / 甘藷新譜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농학자 김장순이 고구마의 재배·이용에 관하여 1813년에 편찬한 농업서. 1책(19장). 목활자본. 조선 후기의 문헌에는 흔히 ‘김씨감저보(金氏甘藷譜)’로 소개되고 있는데, 선종한(宣宗漢)을 그 공저자로 하여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그것은 이 책이 전라도에서 9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