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선사 > 청동기_고조선 16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선사 > 청동기_고조선
  • 구성신시동석관묘 / 龜城新市洞石棺墓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구성군 사기면 신시동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돌널무덤. 정식으로 학술적인 발굴조사를 거친 것이 아니어서 유적의 성격은 정확히 파악되어 있지 않다. 다만 판석(板石)을 사용하여 축조한 단순형 돌널무덤이며, 그 내부에서 부장품으로 세형동검 1점과 흑요석ㆍ구옥

  • 금산구억리유적 / 錦山九億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구억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 유물로는 돌검[石劍]과 돌살촉[石鏃]만이 출토되었는데, 돌검은 손잡이[柄部] 머리부분이 밖으로 벌어지지 않아 손잡이 전체가 납작한 막대기 모양을 한 통자루식[無段柄式]이다. 돌살촉은 단면이 마름모꼴의 긴 몸통에

  • 금야용산리토광묘 / 金野龍山里土壙墓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영흥군 인흥면 용산리(현재 북한의 금야군 인흥면 용산리)에 있는 청동제유물 출토지. 출토유물은 제1지점에서 동검 1점, 동과 1점과 제2지점에서 동검 1점, 다뉴세문경 1점, +자형 검자루대 1점 등이다. 동과는 끝부분이 약간 떨어졌으나 거의 완형에 가까운 형

  • 금야유적 / 金野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읍(현재 북한의 금야군 금야읍)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집터는 움 깊이 20∼30㎝의 낮은 장방형 반움집터로 바닥에는 기둥구멍이 남아 있지 않고, 화덕자리도 2호 집터에서 1개, 10호 집터에서 2개가 발견되었을 뿐이다. 집터의 크기는 5

  • 기좌도지석묘 / 箕佐島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방월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형식은 모두 남방식 고인돌에 속하며, 대체로 거대한 뚜껑돌[上石]을 4, 5개의 괴석(塊石)으로 받친 바둑판 모양을 하고 있다. 규모는 개석의 장변이 480㎝인 것에서부터 100㎝인 것까지 균일하지 않다. 상석

  • 김해봉황동유적 / 金海鳳凰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회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무덤과 삼한∼삼국시대의 생활유적이 혼재된 복합유적.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것은 고인돌〔支石墓〕과 돌널무덤〔石棺墓〕이고 삼한시대의 것은 조개더미와 집자리, 환호이다. 삼한시대 문화층에서는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와 민무늬토

  • 나주노동리지석묘 / 羅州路東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면 노동리 하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걸치는 지석묘군. 마을의 구릉 경사면에 있으며, 현재 22기가 남아 있다. 이 고인돌들은 모두 상석을 3개 내지 5개의 지석들이 괴고 있는 남방식 지석묘들이다. 그 가운데 1기가 민족항일기에 일본

  • 나주신포리지석묘군 / 羅州新浦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신포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전라남도 기념물 제135호. 신포리지석묘군은 내동마을 일대에 4개군 100여 기가 산재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밀집도가 높은 산 35-2번지 일대의 30여 기가 1990년 12월 5일 전라남도 문화재로 지

  • 나주판촌리지석묘군 / 羅州板村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판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군. 논 가운데에 14기(基)가 타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뚜껑돌식[蓋石式]으로 돌방[石室]의 구조에 따라 세가지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부정형할석(不整形割石)으로 만들어진 장방형돌방무덤[長方形石室墓]

  • 남양주수석리주거지 / 南楊州水石里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옛 양주군 미금면 수석리)에 있는 청동기 후기의 주거지. 유물은 석기ㆍ토기뿐이다. 석기에는 타제석부ㆍ석창ㆍ단인석부ㆍ갈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냇돌로 만든 타제석부가 많은 것이 주목된다. 그것은 이 한강변 신석기시대 석기의 전통이 반영된 점에서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