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 유금필 / 庾黔弼 [종교·철학/유학]

    ?~941년(태조 24). 고려 전기의 무신. 태조를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워 개국공신이 되었다. 929년 견훤이 고창군(古昌郡)을 포위·공격하자 많은 장수들이 진군을 망설였다. 그러나 유금필은 홀로 결사적인 태도로 임해 저수봉(猪首峰)으로부터 돌격

  • 유문사실 / 柳文事實 [문학/한문학]

    고려 전기 문인 최유청(崔惟淸, 1095~1174)이 유종원(柳宗元)의 문장과 행적을 편찬한 책. 『유문사실(柳文事實)』은 최유청이 왕명을 받들어 당(唐)나라 문인 유종원(773~819)의 문장 및 행적을 편찬한 책으로 짐작된다.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 육륜회 / 六輪會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에 널리 행하여졌던 불교의 수행법회 가운데 하나. 인간의 모든 감각기관으로 지은 죄를 참회하고, 앞으로 보다 많은 선행을 쌓을 것을 다짐하는 법회로서, 이 때 육륜법(六輪法)에 따른 의식이 병행된다. 육륜법에는 4면으로 된 윷짝 여섯 개를 사용한다. 육륜법은

  • 율학박사 / 律學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율령(律令) 사무를 담당한 관직.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992년(성종 11)에 국자감을 설치하면서 그 안에 8품 이상 관직자의 자제와 서인(庶人)이 입학할 수 있는 율학을 두어 율학박사로 하여금 율령을 가르치게 하였다. 정원은 1인이고 품계는 종8품이었으며

  • 은청광록대부 / 銀靑光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국초에는 이 명칭이었으나, 995년(성종 14)부터 은청흥록대부(銀靑興祿大夫)로 바뀌고, 1076년(문종 30)에 본래 명칭으로 되면서 정3품으로 전체 29계 가운데 제4계가 되었다. 그 뒤 1275년(충렬왕 1)에 또다시 개칭되었는데, ≪

  • 의장기 / 儀仗旗 [사회/사회구조]

    각종 의전행사에서 위의(威儀)를 갖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 기에는 국가나 단체 기타의 상징을 위하여 사용하는 상징기, 위험을 경고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기, 단순히 장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식기, 기타 축의기·의장기 등이 있다. 의장기는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 의정 / 醫正 [과학기술/의약학]

    고려시대 태의감의 종9품 관직. 정원은 2인. 목종 때 이미 설치되어 있었으며,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이 정하여졌다. 이후 1308년(충렬왕 34)에 태의감이 사의서(司醫署)로 개칭되고 직제가 개정될 때 폐지되었으며, 그 뒤로는 설치되지 않았다.

  • 의제고 / 義濟庫 [사회/사회구조]

    고려시대 빈민구호를 위하여 설치한 관서. 1361년(공민왕 10)에 설치되었는데, 이듬해 이와 유사한 기관으로 혜제고(惠濟庫)가 설치되어 서로 그 업무가 중복됨으로써 1391년(공양왕 3) 혜제고에 병합되었다. 관원으로는 영(종7품) 1인, 승(종8품) 1인, 녹사(

  • 의주 / 義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예종(睿宗) 때에 내원성과 포주를 귀속시켜 포주를 의주(義州)로 개칭. 공민왕(恭愍王) 15년(1366)에 의주목(義州牧)으로 삼고, 공민왕(恭愍王) 18년에는 여기에 만호부를 두었던 것이 조선왕조에 이어졌다. 의주(義州)는 ‘일국의 서문’으로 명사(明使)

  • 의창 / 義倉 [경제·산업/경제]

    평시에 곡식을 저장해 두었다가 흉년이 들었을 때 기민을 구호하거나 궁민에게 대여해 생업에 종사하게 하던 구호 기관. 고려 태조가 흑창을 설치해 궁민에게 진대하는 법을 마련, 986년(성종 5)에 이름을 의창으로 바꾸고 지방에까지 확대하였다. 993년에는 양경 및 12

페이지 / 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