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1,19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동평 / 東平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부산진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대증현(大甑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동평현으로 고쳐 양주(良州) 영역의 동래군(東萊郡)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양주(梁州)의 임내로 하였다가, 1405년(태종 5) 동래현에 이속시켰다. 1409

  • 두건 / 頭巾 [생활/의생활]

    머리에 쓰는 헝겊으로 된 간단한 모자. 두건의 형태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으며, 복두 일색이던 통일신라를 지나 고려에 들어오면 ≪고려도경 高麗圖經≫·≪고려사≫ 등의 문헌에도 나타난다. 이에 기록된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오건사대(烏巾四帶)·문라두건(文羅頭巾)·

  • 두량이성 / 豆良伊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청양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에 열성(悅城)으로 고쳐 부여군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기 940년(태조 23) 지금의 이름인 정산현(定山縣)으로 고쳤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청양군에 편입되어 정산면 지역으로 추정된다.

  • 두루마기 [생활/의생활]

    우리나라 고유의 겉옷. 좁은 의미로는 조선 말기에 도포(道袍)·창의(氅衣) 등의 제도가 없어지고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입혀지고 있는 포제(袍制)를 말한다.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衽式)이며 양 옆에 무를 달아 옆을 막고, 길이는 발목에서

  • 두부지 / 豆夫只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옛 지명. 백제의 두부지현으로 757년(경덕왕 16)에 동복(同福)으로 고쳐 지금의 곡성군에 속한 현이 되었고, 고려 초에 보성군에 병합되었다가 감무로 승격되었다. 1394년 화순감무를 겸하였고 1405년(태종 5 )화순현을 병합하여 복순현(福順縣

  • 두잉지 / 豆仍只 [지리/인문지리]

    세종특별자치시에 포함된 구 연기군의 옛 지명. 본래 백제 초기의 적현성(赤峴城)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지금의 이름인 연기로 고쳐져 연산군(燕山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청주에 속하였다가, 1172년(명종 2) 감무를 두었고 뒤에 목천감무(木

  • 두탄탄전 / 豆呑炭典 [경제·산업/산업]

    신라시대의 관서. 내성(內省)에 소속되어 있는데, 사무의 분장이나 설치연대 등은 확실하지 않다. 소속관원으로는 간옹(看翁) 1인을 두었다.

  • 등기 / 燈器 [예술·체육/공예]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하여 불을 켜는 데 필요한 도구. 재료나 형태 또는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일반적으로 기름을 담아서 불을 켜는 등잔, 등잔을 얹어서 사용하는 등경(燈檠), 초를 꽂는 촛대, 들고 다니는 제등(提燈), 걸어놓는 괘등(掛燈), 실내

  • 등윤주자화사 / 登潤州慈和寺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 『동문선(東文選)』에는 ‘등윤주자화사상방(登潤州慈和寺上房)’이라고 되어 있다. 작자의 문집 『고운문집(孤雲文集)』을 비롯하여 고려말 시선집인 『십초시(十鈔詩)』 등 대부분의 시선집에 빠짐없이 수록되어 있는 명시이다.

  • 디딜방아 [경제·산업/산업]

    발로 디디어 곡식을 찧는 방아. 디딜방아가 언제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구려시대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구려의 생활상을 묘사한 고구려의 고분벽화, 특히 안악 제3호분의 벽화에는 디딜방앗간의 장면이 잘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

페이지 / 12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