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1,19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관음참법 / 觀音懺法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지하여 행하는 참회법. 보통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을 독송하고 정진하면서 죄업을 참회하고 소원을 기원하거나,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끊임없이 외우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고려 및 조선시대에는 미타참법과 함께 불교의 2대 참법으로

  • 관중송진책선배부분주막 / 關中送陳策先輩赴分州幕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에 최승우(崔承祐)가 지은 한시. 신라 말기에 최승우(崔承祐)가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동문선≫ 권12에 실려 있다. 이 시는 분주(邠州) 막부로 부임해가는 선배 진책(陳策)을 관중(關中)에서 송별하면서 쓴 것이다. 제1·2구에서는 송별하는 상대, 즉 진책을

  • 광덕사부도 / 廣德寺浮屠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있는 사리를 봉안한 5기의 석조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5호. 부도는 모두 5기(基)가 있는데 4기는 홍예(虹霓)로 된 석교를 넘기 전에 있고, 1기는 4기(基)의 부도에서 동북 약 40m의 산봉우리 정상부에

  • 광명사동종 / 光明寺銅鐘 [예술·체육/공예]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고묘사[光明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높이 88㎝, 입지름 51㎝. 중형(中型)에 속하는 종으로, 상하대(上下帶)의 무늬는 각각 다르게 장식하였는데, 상대는 S자형 물결 모양의 당초문(唐草文)을 연속하여 둘렀고, 하대는 상대보다 약간 넓게

  • 광백론소 / 廣百論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측이 『광백론』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측 저술로 추정되는 10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 광백론종요 / 廣百論宗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불교해설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불전소초목록(佛典疏鈔目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 광백론지귀 / 廣百論旨歸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정리하고 해설한 불교서.불교주석서.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와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 광백론촬요 / 廣百論撮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정리하고 해설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화엄종장소병인명록(華嚴宗章疏幷因明錄)』,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 『대일본고문서(大日本古文書)』, 『나라록(奈良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

  • 광석본모송 / 廣釋本母頌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인도 유식학자 호법의 『성유식론』을 해석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현재 산실되어 전하지 않지만, 전체 3권으로 구성된 책이다. 현존하는 태현의 유일한 저작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에 일부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

  • 광양 마로산성 / 光陽 馬老山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초축된 협축식 성곽.산성. 사적. 사적 제492호. 광양 마로산성은 백제에 의해 축성되어 통일신라시대까지 사용된 성곽으로 5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성벽과 건물지 17동, 문지 3개소, 석축 집수정

페이지 / 12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