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1,19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차자표기법 / 借字表記法 [언어/언어/문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한자차용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이전에 향찰(鄕札)·이두(吏讀)·구결(口訣)·고유명사표기라고 구분하여 오던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한자를 차용하는 방법은 한자의 음과 훈 중 어느 것을 차용하느냐에 따라 ‘음’과 ‘훈’으로

  • 참동계 / 參同契 [종교·철학/도교]

    중국 후한 때 인물인 위백양이 저술한 도교의 경전. 연단법을 <주역>의 역리에 참통계합시켜 설명한 책이다. 태식과 같은 호흡조절을 통하여 불로장생을 가능하게 한다는 내단설과 단약의 연제를 역의 원리에 따라 전개하는 외단설을 밝혔다. 우리나라에 <참동계>가 전해진 것은

  • 참위설 / 讖緯說 [종교·철학/도교]

    세운과 인사의 미래를 예언하는 설. 참은 예언 따위로 사람의 길흉, 화복, 성패 등을 예언하는 것이다. 위는 6경의 내용을 기설로 해석하여 경서 뒤에 숨은 신비를 밝히려는 것이다. 참과 위는 음양오행설에 기초하여 천인감응설, 부서설, 복서 등의 사상을 가미하여 천변지이

  • 처용무 / 處容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處容說話)」에서 비롯된 가면무.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고려사』 악지(樂志)에는 처용무가 소개되어 있지 않지만 『고려사』 충혜왕조와 신우조(辛禑條)에는 처용희(處容戱)를 즐겼다는 기록이 전한다.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권1에는

  • 천사옥대설화 / 天賜玉帶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 진평왕이 하늘로부터 받은 옥대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 권1 기이편(紀異篇) 천사옥대(天賜玉帶)에 수록되어 있다. 일연(一然)의 찬문, “하늘이 주신 긴 옥대는 임금의 곤의(袞衣)에 알맞았네. 우리 임금 이로부터 몸 더욱 중하니 다음에는 쇠로써 섬돌을 지으려 하

  • 첨성대 / 瞻星臺 [과학/과학기술]

    별을 보기 위하여 높이 쌓은 대. 현존하는 첨성대 중 대표적인 것은 신라시대 경주에 있었던 것이다. 별을 보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이 있었다. 하나는 국가의 길흉을 점치기 위하여 별이 나타내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역법(曆法)을 만들거나 그 오차를

  • 청개정국호겸상왕호서 / 請改正國號兼上王號書 [문학/한문학]

    신라 지증왕 때 국호와 왕호를 정해 올린 글. 이 글은 처음부터 독립된 문장으로 쓰여진 것이 아니고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지증마립간(知證麻立干) 4년조의 기록을 한말의 장지연(張志淵)이 『대동문수(大東文粹)』를 편찬할 때 내용의 일부를 개작하여 한 편의

  • 촌락 / 村落 [사회/촌락]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생활의 단위로서, 인간생활의 기본단위인 가족 또는 집들이 모여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통합을 이루고 있는 지역집단. 마을·골〔谷〕·동리·부락·취락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는 촌락의 개념과 그것에 대한 연구의 관심은 여러 학문 분야에 따라 각기 다르다

  • 최치원 / 崔致遠 [종교·철학/유학]

    신라 말의 유학자. 869년 당나라에 유학하였다. 거기에서 과거급제했으며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유명한 격문을 지었다. 885년 귀국하여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만년에는 명산대천을 찾아 두루 다녔다. 유, 불, 선 3교를 조화시키고 융합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즉 유교의 '인

  • 최치원설화 / 崔致遠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인 최치원에 관한 설화. 최치원이 당나라에 있을 때의 일화에 관련된 문헌설화이다. 한 편의 설화이기는 하나, 내용 구성면에서 다분히 소설적 면모를 띠고 있어 소설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 설화는 원래 『수이전(殊異傳)』에 수록되었던 것인데, 성임

페이지 / 12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