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 가은 / 加恩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가해현(加害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가선(嘉善)으로 고쳐 고령군(古寧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가은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현을 파하여 상주(尙州)에 합쳤다가 1390년(공양왕 2)

  • 가은암산성 / 加隱巖山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에 있는 삼국시대 입보용으로 축성된 성곽.산성. 둘레 3,018척. 현재 문지(門址)·수구(水口)·건물지와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다. 단양군과 제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남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북쪽 강언덕의 험준한

  • 가재울은행나무 / ─銀杏─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철원군 정동리에 있는 은행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43호. 은행나무는 정동리 가재울 부락에서부터 서남방향으로 약 1㎞떨어진 요양소마당에 있다. 은행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편마암지대에 생긴 충적토이고 모래메흙이며 습기는 적당하다. 이 지대의

  • 가조 / 加祚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거창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가소현(加召縣)인데 방언(方言)이 비슷하여 소(召)가 조(祚)로 된 것이다. 신라 경덕왕 때 함음(咸陰)으로 고쳐 거창에 예속시켰다. 고려초에 옛 명칭 가조로 환원하였고 1018년(현종 9) 합주(陜州)에 이속시키더니 뒤에 다시

  • 가주 / 嘉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박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땅으로, 한때 발해의 영토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 초에 신도군(信都郡, 또는 古德縣)이라 하였는데, 960년(광종 11) 습홀(濕忽)에 성을 쌓고 승격시켜 가주라 칭하였다.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로 대체하였다

  • 가지 / 茄子 [과학/식물]

    가짓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통하여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해동역사』에는 당나라 때의 문헌인 『유양잡조』와 송나라 때의 문헌인 『본초연의』를 인용하여, 신라에서 재배되는 가지는 꼭지가 길쭉하고 끝은 달걀모양인데, 맛이

  • 가학루 / 駕鶴樓 [예술·체육/건축]

    북한 강원도 안변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4대 효성왕 연간에 건립한 누정.누각. 정면 3칸, 측면 3칸의 합각지붕건물. 신라 효성왕 때 지어졌으며 1486년(성종17)에 개축하였다. 원래 안변객사(安邊客舍)의 다락 건물로, 뒤에는 학성산(鶴城山)이 있고, 앞

  • 가화 / 嘉禾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송화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판마곶(板麻串)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가화로 고쳐 중반군(重盤郡)의 영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송화의 동남쪽 50리 지점에 있었는데, 이곳은 용문산 남쪽의 사천계곡을 차지하고 있었다. 부근에 동창(東倉)이 있었다

  • 각이찰성 / 覺尔察城 [예술·체육/건축]

    중국 요령성 무순시 신빈만족자치현(新賓滿族自治縣) 영릉진 온가요둔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 시기에 축조된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진 성곽.산성. 무순시(撫順市) 신빈현(新浜縣) 영릉진(永陵鎭) 온가요둔(溫家窯屯)의 연돌산(烟突山)이라고도 불리는 서산(西山)에 있다. 온가요

  • 각화산 / 覺華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과 소천면에 걸쳐 있는 산. 각화산의 높이는 1,177m로, 구령산(九靈山)·조록암봉·청옥산(靑玉山)·옥석산(玉石山) 등과 함께 태백산맥에서 소백산맥으로 갈라지는 기점을 이룬다. 각화산의 남쪽 산록에는 신라 때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세웠다고 전해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9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