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 공주공산성연지 / 公州公山城蓮池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영은사 관련 연못.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길이 21m, 너비 15.3m, 깊이 7.7m, 넓이 1,164㎡. 이 연지는 공산성 안의 남쪽 영은사(靈隱寺) 앞에 자리하고 있다.연지 안의 석축은 단을 두어 쌓았으며,

  • 공주남혈사지 / 公州南穴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로 추정되는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5호. 지정면적 2,916㎡. 절터에는 본래 있던 탑지(塔址) 등의 흔적이 민간 묘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사라졌고, 이후 절터에 대한 구체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사역(寺域)의

  • 공주수원사지 / 公州水源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6호. 지정면적 7,219㎡. 수원사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미륵선화(彌勒仙花) 미시랑(未尸郞) 진자사(眞慈師)조에 “웅천주의 수원사에 가면 미륵선화를 볼 수 있다.”는 진자의 꿈 내용이 적

  • 공주옥녀봉성 / 公州玉女峰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토축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99호. 지정면적 36,348㎡, 둘레 약 870m. 이 성과 관련된 기록은 확인되지 않으나 공주공산성(公州公山成, 사적 제12호)의 동쪽에 인접된 표고 60m 정도의 나지막한 야산

  • 공주주미사지 / 公州舟尾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8호. 지정면적 4,552㎡. 이 사지는 주미산의 남측 사면에 해당되는 곳이데, 주미산은 고어로 ‘즈믄산’으로, 지명 고증에 의하면 ‘천산(千山)’이라 할 수 있다.이 천산에 대하여는

  • 과대 / 銙帶 [생활/의생활]

    포대(布帶) 또는 혁대(革帶) 표면에 띠돈[銙板, 飾板]을 붙인 띠. 띠돈의 소재에 따라 옥대(玉帶)·서대(犀帶)·금대·은대·석대(石帶)·각대 등으로 불린다. 과대는 포대를 모체로 하여 계급분화과정에서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발생하였다. 즉, 옷을 여미고 몸을 보호하는

  • 과부 / 寡婦 [사회/사회구조]

    남편이 죽어 홀로 사는 여자로, 미망인(未亡人)·홀어미·과수(寡守)라고도 함. ≪삼국지≫ 위서 부여전에는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삼는다고 하였다. 아직 유교적인 신분관념이 희박하였던 고대사회에서는 과부의 재혼이 쉬운 일은 아니었지만, 여건에 따라 가능하였던 것을 알

  • 과수원 / 果樹園 [경제·산업/산업]

    과수를 영리적으로 재배하는 농장. 우리나라의 과수재배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통일신라시대에 많은 종류가 재배되었다고 하며, 『고려사』 식화지(食貨誌)에 의하면 1188년(명종 18) 왕이 “밤나무·배나무·잣나무·대추나무 등을 많이 재배하여 이(利)를 얻도록 하라”고 명

  • 관도관 / 貫道觀 [문학/한문학]

    당대(唐代) 고문운동에서 주장된 문이재도(文以載道)·문도합일(文道合一 ; 글과 도는 하나이다)이나 문이명도(文以明道 ; 글로써 도를 밝힌다)의 주장과 유사한 문장 미학 이론. 당(唐)의 이한(李漢)은 <창려문집서 昌黎文集序>에서 “글은 도(道)를 꿰는 그릇이다.”라고

  • 관룡사약사전삼층석탑 / 觀龍寺藥師殿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약사전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2m.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지대석(地臺石)이 모두 지상에 드러나 있는데, 현상으로 보아 자연암반을 활용했던 것으로 보인다.즉, 상면과 측면은 평평하고 반듯하게 다

페이지 / 9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