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 고창운곡리백제요지 / 高敞雲谷里百濟窯址 [예술·체육/공예]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세발토기·세경호 등이 출토된 가마터. 1983년 8월 전주시립박물관에 의해서 발굴 조사되었다. 운곡마을 뒷산에서 남으로 향한 산능선의 동쪽 비탈 중턱에 있다. 이 산줄기 끝의 남사면에도 2, 3개소의 도요지가 있었으나 도로

  • 공검지 / 恭儉池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저수지. 남한에서는 규모에 있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서력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벼농사의 중요성과 함께 정치적·사회적 발전에 의한 노동력의 징발에 의해 거대한 저수지가 축조되었는바, 제천 의림지(義林池), 밀양 수산제(守

  • 공공부조사업 / 公共扶助事業 [사회/사회구조]

    극빈자 또는 자연적·인위적 재해에 의하여 발생한 이재민을 구제하기 위하여 벌이는 사업. 공공부조란 사회보험·사회수당과 함께 소득보장의 세 가지 정책도구 중의 하나로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최후의 안전망 기능을 수행하는 제도이다. 공공부조의 기본적인 특징은 조세를

  • 공복 / 公服 [생활/의생활]

    관원(官員)이 조정(朝廷)에 나아갈 때 입는 관복(冠服). 신하가 임금에게 상주(上奏)할 일이 있어 조현(朝見)할 때, 사은 또는 사퇴관계로 배알할 때 착용하였다. 이에는 복두(幞頭)를 쓰고, 포(袍)에 대(帶)를 띠며, 흑화(黑靴)를 신고, 홀(笏)을 들었다. 우리

  • 공예 / 工藝 [예술·체육/공예]

    실용적 가치와 미술적 가치를 가진 공작에 관한 기법 또는 조형예술. 일반적으로 공작으로 만들어진 물건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따라서, 그 물건을 만드는 과정도 문제가 되지만, 물건 자체의 양식이나 양식의 변천에 관하여 더욱 관심을 보이게 된다.공예품은 인간이 생활을

  • 공유림 / 公有林 [경제·산업/산업]

    지방자치단체나 공공단체가 소유하고 있는 산림. 우리 나라 <산림법> 제3조에 보면 산림은 그 소유자에 따라 국유림·공유림·사유림의 세 가지로 구분되고, 공유림이란 지방자치단체나 기타 공공단체가 소유하는 산림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공유림이란 공공단체 또는 그 일부에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公州麻谷寺大光寶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재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802호. 대광보전은 뒤편에 위치한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의 중심 불전이다. 1782년 발생한 대화재로 불타버렸지만 1785년 재건되었다. 재건 내용은 내부에 걸려 있는 「충청우도공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 公州麻谷寺大雄寶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후기 중층으로 조성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801호. 마곡사 대웅보전은 내부에 걸려있는 「강희구년경술육월초일일공산지화산마곡사이층대장전단청기(康熙九年庚戌六月初一日公山地華山麻谷寺二層大藏殿丹靑記)」에 의하면 건립 당시 대장전

  • 공주 중동 석조 / 公州中洞石槽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시대 백제의 석조.보물. 보물 제148호. 지름 1.34m, 높이 0.72m. 돌로 만든 물그릇으로, 원래 공주시 반죽동 대통사(大通寺)터에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 함께 있었다. 곧 이 석조는 일제강점기에 공주시

  • 공주공산성 / 公州公山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산성. 사적. 금강변 야산의 능선과 계곡을 둘러 쌓은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동쪽과 서쪽에 보조산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원래 흙으로 쌓은 것을 임진왜란 직후에 돌로 다시 고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진

페이지 / 9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