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光州芝山洞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일반형 석조 불탑.석탑. 보물 보물 제110호. 높이 7.24m. 2층 받침돌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를 올린 모습이다. 1955년에 해체하여 수리하였을 때, 4층 지붕돌 윗면에서 사리(舍利)를

  • 광주무등경기장 / 光州無等競技場 [예술·체육/체육]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있는 종합 스포츠 경기장. 7개의 주요 경기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64년 1월에 착공하여 공사비 약 13억 5000만 원을 들여 1965년 9월에 완공하였다.이 시설에서 1965년 제46회 및 1977년 제58회 전국체육대회가 두 차례에 걸

  • 광주시립무용단 / 光州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76년 지역사회의 발레부흥과 대중화를 위하여 창단된 광주광역시 산하의 시립발레단. 1976년 광주시민회관에서 「백조의 호수」(2막), 「마을의 향연」으로 창단공연을 가졌다. 광주시립무용단의 전신인 박금자(朴錦子)무용단의 전문직업무용단이 시립무용단으로 흡수되면서 창단

  • 광주충효동요지 / 光州忠孝洞窯址 [예술·체육/공예]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청자 등을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141호. 광주광역시 무등산의 충효동 일대에는 14세기 말부터 17세기에 이르는 분청사기와 백자 가마터가 분포되어 있다. 충효동 분청사기 가마터는 1963년과 1991년 두 차례에 걸쳐

  • 광주항쟁삼부작 / 光州抗爭三部作 [예술·체육/무용]

    1995~1998년에 걸쳐 공연된 5·18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현대무용. ‘광주항쟁 3부작’은 「그 해 오월」(1995), 「편애의 땅」(1997), 「그들의 결혼」(1998)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항쟁 3부작’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현장을 재현하며 대한민국의

  • 광한루원 / 廣寒樓苑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조선전기 에 조성된 광한루의 정원.누원. 명승. 남원역 근처의 시내에 춘향과 이도령이 만났다는 광한루가 있고, 그 광한루가 있는 정원을 통칭하여 광한루원(廣寒樓園)이라고 한다. 명승 제33호. 지정면적 6만 9795㎡. 누원에는 호수와 오작교·삼

  • 광희문 / 光熙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전기 서울 성곽의 4소문 가운데 동남쪽 문(門).문루. 수구문(水口門) 또는 시구문(屍口門)이라고도 한다. 석축으로 된 기단부만 남아 있었는데, 1975년에 복원할 때 홍예석축(虹霓石築)을 해체하여 남쪽으로 15m 옮겼고, 문루 12평을 새로

  • 괘궁정 / 掛弓亭 [예술·체육/건축]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 있는 조선후기 혜산진성 남문의 문루였던 누정.북한문화재. 조선시대의 누정으로 정면 3칸(9.45m), 측면 2칸(6.1m)의 익공식(翼工式) 합각지붕건물이다. 둘레에는 10개의 긴 기둥을 세워 1·2층 기둥을 겸하게 하였고, 가운데는 기둥을 세우지

  • 괘등 / 掛燈 [예술·체육/공예]

    전각(殿閣)·누각(樓閣) 또는 주택의 들보나 추녀 끝에 다는 등기. 철사(鐵絲)·동사(銅絲)·나무·대나무로 골격을 하고, 깁[紗]·종이·유리·뿔을 씌우며, 내부에는 초나 등잔을 넣어 불을 밝혔다. 재료나 형태 또는 용도에 따라 사방등(四方燈)·육각등(六角燈)·양각등(羊

  • 괴산 각연사 비로전 / 槐山 覺淵寺 毘盧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4

페이지 / 1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