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공주옥녀봉성 / 公州玉女峰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토축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99호. 지정면적 36,348㎡, 둘레 약 870m. 이 성과 관련된 기록은 확인되지 않으나 공주공산성(公州公山成, 사적 제12호)의 동쪽에 인접된 표고 60m 정도의 나지막한 야산

  • 공주주미사지 / 公州舟尾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8호. 지정면적 4,552㎡. 이 사지는 주미산의 남측 사면에 해당되는 곳이데, 주미산은 고어로 ‘즈믄산’으로, 지명 고증에 의하면 ‘천산(千山)’이라 할 수 있다.이 천산에 대하여는

  • 공주학봉리요지 / 公州鶴峰里窯址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철회분청사기와 백자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33호. 계룡산 요지 가운데 가장 중심되는 곳이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라 5악 중 서악(西嶽)으로 불리던 영산(靈山)으로, 이곳의 동쪽 산기슭 일대에는 고려시대 말에

  • 곽재우 유물 일괄 / 郭再祐遺物一括 [예술·체육/공예]

    조선 후기의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일괄 유물. 보물 제671호.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 그의 호는 망우당이다. 이 유물들은 임진왜란 당시 그가 사용했다고 전하는 장검과 마구, 그리고 평소에 쓰던 벼루, 연적, 철인, 갓끈 등의 일괄품이다. 장검은

  • 관 / 管 [예술·체육/국악]

    조선 전기부터 말기까지 궁중아악에서 쓰인 관악기. 우리 나라에 최초로 도입된 아악기, 즉 고려 예종 11년(1116)의 대성(大晟) 아악기에는 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조선 초기에 와서야 문헌에 등장한다.

  • 관객석 / 觀客席 [예술·체육/연극]

    극장 등에서 관객이 앉을 수 있도록 만든 자리이다.

  • 관덕정 / 觀德亭 [예술·체육/건축]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자남산(子男山)에 있는 조선시대 사정(射亭) 건물 형태의 누정.정자. 정면 3칸, 측면 2칸. 정면과 양 측면의 기둥 8개는 8각으로 다듬은 돌기둥 위에 세우고, 뒷면 2개 기둥은 그대로 주춧돌 위에 세웠다.두공(枓栱)은 단익공(單翼工)이고 천장은

  • 관동무 / 關東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헌종 때 정철(鄭澈)의 「관동별곡 關東別曲」을 주제로 하여 만든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정재는 조선시대 대궐 안에서 잔치가 있을 때 공연하던 춤과 노래를 말한다. 「관동별곡」은 정철이 1580년(선조 13)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할 때 금강산과 동해안의 수려

  • 관란정 / 觀瀾亭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에 있는 조선후기 생육신 원호 관련 누정.정자. 시도기념물.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에 묻히게 되자,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었던 원호(元昊 ; 생몰년미상)가 단종을 그리면서 서강가에 단을 세우고 아침·저녁으로 눈물을 흘리며

  • 관란정첩 / 觀瀾亭帖 [예술·체육/서예]

    조선후기 서예가 이우가 우리나라 역대 서예가들의 필적을 돌에 새겨 만든 서첩. 이우(李俁) 엮음. 1책 16면. 32×23.3㎝. 첩장본(帖裝本). 국립중앙도서관 소장(葦滄 고서). 편자인 낭선군(朗善君) 이우의 호를 따서 ‘관란정첩’이라 하였다.신라의 김생(金生)·최

페이지 / 1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