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고금역대법첩 / 古今歷代法帖 [예술·체육/서예]

    1859년 서예가 박문회가 중국과 한국의 역대 서예가들의 필적을 모아 엮은 서첩.법첩. 1책. 목각탑본(木刻搨本). 1859년 박문회(朴文會)가 펴냈다. 양각본(陽刻本)·음각본(陰刻本)의 두 종류가 전한다.중국의 필적은 위로 하우(夏禹) 때의 전서(篆書)를 비롯하여 진

  •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 高達寺元宗大師慧眞塔碑 [예술·체육/서예]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원종대사 찬유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975년 건립. 비신의 높이 325㎝, 너비 162㎝, 두께 30㎝. 원래는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의 고달사지에 있었던 것으로, 현재 경복궁 안으로 옮겨져 있는데 여러 조각으로 깨어져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古代─靑銅─ [예술·체육/공예]

    1936년 손기정(孫基禎)이 제11회 베를린올림픽 경기대회의 마라톤 경주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투구. 보물 제904호. 서기전 6세기경 고대 그리스 투사들이 마상경기(馬上競技) 때 사용했던 쇠모자로서, 1875년 제우스 신전(Zeus神殿)에서 발견되었다.머리부분은

  • 고돌산진 / 古突山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에 있는 조선전기 에 축성된 수군 관련 주둔지.수군주둔지. 이 진은 본영인 전라좌수영보다 9년이 늦은 1488년(성종 19)에 돌산포 만호(萬戶)로 설치될 때에 축성된 진(鎭)으로 주위 2,313척, 높이 13척의 석성이다. 1522년(중종 17)

  • 고려다완 / 高麗茶碗 [예술·체육/공예]

    16∼17세기 서일본 지역에서 말차(抹茶)를 마시는 데 사용한 찻사발. 고려다완은 그릇모양에 변화가 있고 유약도 제각기 다르다. 예를 들면 다완의 밑부분이 상어피부처럼 오톨도톨한 것은 낮은 가마 온도 때문에 유약이 잘 녹지 않아 생긴 것인데, 그것을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 고려대학교본관 / 高麗大學校本館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에 있는 건물. 사적 제285호.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의 경영을 맡았던 김성수가 1933년 9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 준공을 본 본관건물로, 고딕양식으로 되어 있다. 현재는 학교의 행정사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건축 당

  • 고려산원통암감로왕도 / 高麗山圓通庵甘露王圖 [예술·체육/회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원통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190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13㎝, 가로 174㎝. 19세기 중엽 이후 경기도 지역 감로왕도의 도상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도상을 생략하여 축소된 도상을 표현하였다. 상단의 중앙에는 합장을

  • 고려성산산성 / 高麗城山山城 [예술·체육/건축]

    중국 요령성 대련시 보란점시(普蘭店市) 묵반향 마둔촌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석축 성곽.산성. 마둔촌의 서쪽에 있는 고려성산에 있다. 고려성산산성이라고 칭하는 산성이 다수 있기 때문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마둔고려성산산성(馬屯高麗城山山城)’이라고도 부른다.성벽은 자

  • 고려성자산성 / 高麗城子山城 [예술·체육/건축]

    중국 요령성 개현(蓋縣)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고구려의 성곽.산성. 개주시 동북 7km의 청석령향(靑石嶺鄕) 고려성자촌(高麗城子村) 동쪽의 석성산(石城山)에 위치한다. 청석령산성(靑石嶺山城) 혹은 고려성산산성(高麗城山山城)이라고도 부른다.석성산은 산세가 험

  • 고려오층석탑 / 高麗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었던 고려시대 에 제작된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7월 해제되었다. 금강공원 부근 개인 정원에 있었다.2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갖춘 전형적인 고려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페이지 / 1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