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 무용 2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무용
  • 서울바레단 / ─團 [예술·체육/무용]

    한국인으로 구성된 최초의 직업 발레단. 1946년 10월 창단된 서울바레단은 한동인의 주도하에 정지수, 장추화 등 단원 12~20명 정도의 규모로 설립되었다. 서울 배제중학교를 졸업하고 한성준에게 무용을 사사받은 한동인은 1939년 일본으로 유학해 아즈마(東勇作)의 제

  • 서울발레시어터 / 서울발레시어터 [예술·체육/무용]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민간 발레단. 1995년 창단. 서울발레시어터를 창단한 제임스 전(전상헌)과 김인희는 부부 사이로서 제임스 전은 모리스 베자르 발레단 및 국립발레단 단원을, 김인희는 국립발레단 및 유니버설발레단 수석 단원을 역임하였다. 조지 발란신의

  • 서울세계무용축제 / ─世界舞踊祝祭 [예술·체육/무용]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 주관으로 매년 10월 서울에서 약 3주간 펼쳐지는 국제 현대무용 예술축제.무용제. 서울세계무용축제(Seou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는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회장 이종호) 주최로 해마다 열리는 행사로,

  • 서울시무용단 / ─市舞踊團 [예술·체육/무용]

    전통문화의 계승과 새시대의 무용문화를 창달하고 이끌어간다는 취지 아래 창단된 무용단. 1974년 국립극장에서 성진무(星辰舞)·태평무(太平舞)·처용무(處容舞)·학무(鶴舞)·연화대무(蓮花臺舞) 등의 레퍼토리를 가지고 창단공연을 가진 이래 매년 봄·가을 2회의 정기공연을 가

  • 선유락 / 船遊樂 [예술·체육/무용]

    신라의 뱃놀이에 기원한 조선시대 정재. 1590년에 편찬된 『평양지(平壤志)』에 평양교방에서 공연한 선유락이 발도가(發棹歌)로 기록된 이래, 선유락은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강원도 원주와 경상도 진주에서는 선락(船樂)으로, 전라도 무주에서는 선유락으로, 평안도 평

  • 성계옥 / 成季玉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진주검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전통무용가.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에서 남명 조식의 후학인 유학자 서산 성갑주의 딸로 태어났다. 1947년부터 1951년까지 경상남도 산청군차황초등학교에서 준교사를 했다. 1947년 진주권

  • 성진무 / 性眞舞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경성의 기생이 추었던 춤. 성진무(性眞舞)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에 대한 사료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다만 1912년 단성사 강선루 공연에서 성진무를 롱선이 혼자 추었고, 1917년 11월 한남권번 연주회의 광고 중에 성진무를 개량하여 구운몽연의(九雲夢演義

  • 성택 / 聖澤 [예술·체육/무용]

    조선 세종 때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양식으로 창작한 정재(呈才) 중의 하나. 주로 중국 사신 위연(慰宴)을 위하여 추던 춤이다. 「성택」 정재의 특징은, 선모(仙母)를 중심으로 8명의 협무(狹舞)가 팔괘(八卦)를 상징하여 사방에 늘어서는 것이다.선모가 감(坎) 방향으로

  • 세계무용연맹한국본부 / 世界舞踊聯盟韓國本部 [예술·체육/무용]

    세계무용연맹(World Dance Alliance)의 한국본부. 한국은 세계무용연맹의 창립 취지를 존중하여 1990년 WDA Asia-Pacific Center에 이사국으로 가입했다.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는 국제 페스티벌·국내외 공연·심포지움 개최 및 학술지 발간과 워

  • 소경무 / 小京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왕이 신촌(新村)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춘 7가지 춤 중의 하나. 감(監) 2인, 금척(琴尺) 1인, 무척(舞尺) 1인, 가척(歌尺)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춤의 형태는 알 길이 없다. 소경(小京)은 국원(國原)을 일컫는 것이므로, 문무왕

페이지 / 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