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남궁계적 / 南宮桂籍 [언어/언어/문자]

    1876년(고종 13) 관성교(關聖敎)에서 일컫는 삼성(三聖) 중 문창제군(文昌帝君)의 경문(經文)과 이 경문을 믿어서 얻은 영험기(靈驗記)를 모아 언해한 책. 불분권(不分卷) 1책. 목판본. 이 책의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어두의 된소리는 ㅅ계·ㅂ계 합용병서를

  •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음독구결 / 南明泉和尙頌證道歌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여말선초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불교경전. 『남명천화상송증도가』에 기입되어 있는 여러 구결 자료 중, 여말선초의 것으로 추정되는 3종의 음독구결 자료이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당나라 승려 현각(玄覺)이 지은

  • 남화진경대문구결 / 南華眞經大文口訣 [언어/언어/문자]

    『남화진경』의 본문만을 발췌하여 한글로 구결을 단 구결서. 도가서. 『남화진경』이란 당나라 이후로 장자(莊子)를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 하면서 그의 책 『장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모두 10권이나 현재 권5·6의 1책만 성암문고(誠庵文庫)에 전한다. 을해자로 간

  • 낭자회개 / 浪子悔改 [언어/언어/문자]

    1885년경 이수정이 번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기독교 전도서. 단권으로 되어 있으며 프랑스 파리 국립 동양어학교의 플랑시(Plancy) 문고 4권에 수록되어 있고 국내에는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에는 저자나 출판일, 출판사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 노걸대언해 / 老乞大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 언해서. 사절의 왕래나 상인의 교역에 필요한 중국어 회화책이다. 작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통문관지(通文館志)』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때 정상국(鄭相國)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책은 이에 앞서 간행된 최세진(崔世珍)

  • 노박집람 / 老朴集覽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관계, 『사성통해

  • 노한사전 / 露韓辭典 [언어/언어/문자]

    1874년 상페체르부그르(C.ПeTepóyprb : 지금의 레닌그라드)에서 푸칠로(Пyuиππo,M.)에 의해서 편찬, 간행된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대역사전(對譯辭典). 러시아어의 주제어휘 총수는 약 7,300어 정도에 달한다(1면당 평균 10어). 러시아어는 활판인쇄이

  • 논어대문구결 / 論語大文口訣 [언어/언어/문자]

    『논어』의 본문만을 발췌하여 한글로 구결을 단 구결서. 7권 1책. 을해자본. 방점은 없으나 ᅀ·ㆁ은 정확하게 사용되고 있다. 간기가 없지만 활자와 문자의 사용 등으로 보아 16세기 중엽의 간행으로 추정된다. 이 책의 구결은 선조 때 교정청에서 편찬, 간행된 『논어언

  • 능엄경음독구결 / 楞嚴經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능엄경』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책. 여말선초의 구결로 추정되는 능엄경 자료는 학계에 보고된 것만 10종이 넘는다. 이 중에서 ‘박동섭 소장본’, ‘남권희 소장본’, ‘기림사 소장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구 송성문본, 보물 제75

  • 다의어 / 多義語 [언어/언어/문자]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진 단어. 소쉬르(Saussure,F.de)의 용어를 빌리면, 둘 이상의 기의(記意, signifie)가 하나의 기표(記標, signifiant)와 결합된 경우를 다의어라고 한다. 다만, 그 기표가 어원을 달리하는 형식인 동음이의어의 경우는 다의어에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