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죽은 체하는 토끼 [문학/구비문학]

    토끼가 꾀를 써서 죽을 위기를 벗어난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담이면서 지략담에 속한다. 토끼가 산에서 팔딱팔딱 뛰다가 덤불에 다리가 걸려서 엎어졌다. 어떻게 하면 다리를 풀까 궁리를 하다가 지나가는 똥파리를 불러서 “똥파리야, 네 자손이 흥성하다니 내 털끝마다 쉬를 좀

  • 죽존자전 / 竹尊者傳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혜심(彗諶)이 지은 가전체소설. 「죽존자전」의 죽존자는 위수(渭水)나 소상강(瀟湘江)가에 노닐면서 서리나 눈에 단련되어 기골이 청신하였다. 존자의 사진인 사군자의 대나무 그림을 세상에서 보배로 여긴다. 죽존자의 덕이 뛰어남을 다 말할 수 없다. 대략 열 가

  • 죽지사 / 竹枝詞 [문학/한문학]

    악부시의 일종. 죽지란 원래 파유(巴歈)지역 일대에 유포된 민가(民歌)의 일종이었다. 이 죽지사는 작자의 순수 서정이 아니라 건평이란 특정 지역의 민가와 민풍을 근거로 지어졌다. 읊조리는 시가 아니라 가창(歌唱)을 전제한 노랫말로 지어졌다. 개별작품의 양식은 7언절구

  • 죽창한화 / 竹窓閑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풍속·제도·풍수·점복·인재 등 자신이 견문한 내용을 수록한 만록집. 이 책의 이름은 이본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연려실기술』 별집 야사 목록 및 『대동야승』(권70), 『설해(說海)』(제91책) 등에는 ‘죽창한화[竹窓閒(閑)話]’로 되어 있는

  • 죽천조천록 / 竹泉朝天錄 [문학/고전시가]

    1624년 6월부터 1625년 10월까지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의 주청사행을 기록한 한문 사행록.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仁祖)의 고명(誥命)과 면복(冕服)을 명나라로부터 받아내기 위한 죽천의 주청사행을 기록한 세 종류의 글들 가운데 『죽천조천록』은 특이한 자

  • 죽통미녀설화 / 竹筒美女說話 [문학/구비문학]

    대나무 통 속에 미녀를 넣고 다니는 사람을 김유신(金庾信)이 만났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에 속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 『수이전(殊異傳)』에 들어 있었다 하며,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권9에도 실려 있다

  • 죽헌문집 / 竹軒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학자 하성의 시·제문·만사·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9대손 진원(振源)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도헌(柳道獻)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09수, 서(書) 2편, 서(序)·발(跋)·상량문·잡저 각 1편, 제문 9편

  • 줄다리기노래 [문학/구비문학]

    줄다리기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유희요의 하나이다. 예전부터 줄다리기의 성행은 단순한 놀이로서가 아니라 줄다리기를 함으로써 풍년이 기약된다는 속신(俗信)이 바탕에 깔렸기 때문이었다. 「줄다리기노래」는 남성들의 집단유희요로, 그 민요사설이 단조로울 뿐더러 드물게 전승된다

  • 중니봉부 / 仲尼鳳賦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부(賦). 『동문선』 권1에 실려 있다. 공자를 뭇새의 으뜸인 봉황에 비유하였다. 그의 덕행을 찬양하는 한편 그를 배우고자 하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중니봉부」는 서두부에서 공자와 봉황의 같은 점을 읊고 있다. “공자는 인간의 걸출

  • 중산복궤집 / 中山覆櫃集 [문학/한문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의 『계원필경집』 저작 이전에 글을 수록한 시문집. 1부 5권으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목록에는 사시금체부(私試今體賦) 5수 1권, 5언·7언 금체시(五言七言今體詩) 100수 1권, 잡체시(雜體詩) 30수 1권, 중산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