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연광정 / 練光亭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최경창(崔慶昌)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대동강가의 명승지인 연광정에 올라 그곳의 뛰어난 조망과 감회를 읊은 시이다. 『고죽집(孤竹集)』과 『국조시산(國朝詩刪)』 권3 등에 실려 있는데, 『고죽집』에는 ‘연광정시이순입지(練光亭示而順立之)’라는 제목으로 되

  • 연당전 / 蓮堂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다른 계모형 가정소설과는 달리 독창적이다. 전처의 딸이 임신하였다는 억울한 말에 대하여 자신의 두 손목을 잘라 부모에게 결백을 보이게 하는 구상부터가 그러하다. 또 계모가 꾸민 음모의 내용도 독특하다. 스

  • 연명설화 / 延命說話 [문학/구비문학]

    단명할 운(運)을 타고난 인물이 이인(異人)의 예언을 듣고 수명을 연장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설화는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에 따라 세 가지의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 첫째, 북두칠성에게 빌어서 수명을 늘인다는 것으로 「북두칠성과 단명 소년」이 있으며, 둘째, 저승사자를

  • 연모요 / 戀母謠 [문학/구비문학]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내용의 민요. 죽은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노래와 시집가서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노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려시가 중에 널리 알려진 「사모곡」은 대표적인 노래이다. “우리엄마 나를낳아/애명글명 기를적에/일천뼈꼴 다녹았고/오만간장 다썩었네//오즘똥을 주

  • 연시가 / 年時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1929년상주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 제16편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현재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이 있다. 2음보 1구로 총 1,164구

  • 연시조 / 聯時調 [문학/고전시가]

    현대시조 유형의 하나.연장체(聯章體) 단가(短歌)의 전통을 현대시조(現代時調) 창작에 접목한 데서 발생. 연시조가 계승할 만한 대엽 유형의 연장체 단가는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일반적인 예로는, 4시(四時)·9곡(九曲) 등의 경물(景物) 및 5륜(五倫)·5우(五友) 등

  • 연암시집 / 煙巖詩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이좌훈(李佐薰)의 시집. 1권 1책. 목판본. 『연암시집』은 1773년(영조 49) 아버지 이동현이 그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겨 유시(遺詩)를 모아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채제공과 홍군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목만중의 발문이 있다. 모두 시로서 237

  • 연암집 / 燕巖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지원(朴趾源)의 시문집. 17권 6책. 신활자본. 책머리에 총목록이 있고, 권1·2는 연상각선본(烟湘閣選本)이라 하여 서(序)·기·인(引)·논·장(狀)·전(傳)·서(書)·묘지명·묘갈명·신도비명·탑명(塔銘), 권3은 공작관문고(孔雀館文稿)로 서·

  • 연양가 / 延陽歌 [문학/고전시가]

    고구려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고 그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삼국속악(三國俗樂) 고구려조에 전한다. 연양현(延陽縣)에 한 충실한 사람이 죽을 힘을 다하여 열심히 일하였다. 자기 몸을 나무에 비유하여 말하기를, “나무가 자신을 불태워 재가 되도

  • 연오랑세오녀설화 / 延烏郎細烏女說話 [문학/구비문학]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 본래 『수이전(殊異傳)』에 전하던 것인데, 고려 때 『삼국유사』에 채록되었다. 이 설화는 단순한 연오·세오 부부의 이동설화가 아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