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정인홍설화 / 鄭仁弘說話 [문학/구비문학]
16∼17세기 조선의 문신이자 의병장 정인홍(鄭仁弘)에 관한 인물설화. 정인홍 설화는 인간과 자연의 대결에서 인간이 우위를 점하려던 시대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영웅이 무훈을 완성하기 위해서 해야 할 과제 가운데 하나가 바로 용과의 전쟁, 악룡의 퇴치 등이었고 정인홍은
정일당강씨 / 靜一堂姜氏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정일당유고』를 저술한 문인. 충청북도 제천출신. 아버지는 강재수(姜在洙)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권서응(權瑞應)의 딸이다. 윤광연(尹光演)의 부인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20세에 출가한 뒤 집이 가난하여 바느질로 생
정일당유고 / 靜一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문인 정일당 강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1책. 신연활자본. 권두에 윤제홍(尹濟弘)의 초간서문과 김창석(金昌碩)의 중간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치규(宋穉圭)·윤수경(尹守慶)의 초간발문과 김석곤(金晳坤)의 중간발문이 있다. 시 38수
정일영 / 鄭日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59∼?). 1887년(고종 2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부수찬·규장각직각·교리 등을 거쳐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고, 1891년 식년감시(式年監試)의 시관이 되었다. 1900년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지만 실정으로 말미암아 면직되고
정일영임명문서 / 鄭日永任命文書 [종교·철학]
1907년(융희 1) 8월 26일. 종2품 가의대부 정일영을 궁내부 특진관, 칙임관 3등으로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육군부장 훈일등 이윤용(李允用)이 봉칙하였다. 궁내부특진관은 조선 말기 궁내부의 관리로, 1895년(고종 32) 5월에 신설되었으며, 칙임관으로 봉
정일전 / 鄭一銓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96년(정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중주, 형 정일옥이 있다. 이형상과 정중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3년(영조 29) 식년시 생원 2등 17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었다. 정희·정충필 등과 학문적인 교유를 나누었
정일품 / 正一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등급의 품계. 1392년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특진보국숭록대부는 대광보국숭록대부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 1443년(세종 25) 12월
정자 / 正字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승문원·교서관의 정9품 관직. 정원은 2인. 승문원의 정자는 1411년(태종 11) 문서응봉사를 승문원으로 개편하면서 2인을 둔 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에 그대로 직제화하였다. 주로 외교문서의 검토·교정을 담당하였다.한편 교서관의 정자는
정작 / 鄭碏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603(선조36).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순붕이다. 아버지가 이기·윤원형 등에게 아부하여 세인으로부터 원흉의 한 사람으로 지목,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윤임·유관·유인숙 등을 죽인 뒤 유관의 재산을 몰수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 의술에 뛰어
정재 / 呈才 [예술·체육/무용]
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여령이나 무동이, 지방 관아에서 기녀들이 공연했던 악가무의 종합예술. 『석보상절(釋譜詳節)』(1447)에 “정재는 재주를 남에게 보이는 것이니, 놀이하여 남에게 보이는 것을 정재라 한다”라는 용례가 있다. 두 번째 뜻은 헌기(獻技), 즉 춤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