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협 / 李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허목·홍우원의 문인이다. 1689년(숙종 15) 생원시 장원을 거쳐 진사시에 합격했다. 같은 해 유생으로 대사헌 이현일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벼슬은 사옹원봉사에 그쳤다.
이형경전 / 李馨慶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본으로는 「이현경전(李賢卿傳)」·「이상서전(李尙書傳)」 등이 있고, 활자본으로는 「이학사전(李學士傳)」이 전한다. 여러 이본의 비교·검토를 통하여볼 때, 「이형경전」이라고 칭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889년 및 1905년에
이형남 / 李亨男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27(인조 5). 임진왜란 때 의병. 아버지는 제, 어머니는 남욱의 딸이다. 이황·권대기의 문인이다. 1592년 왜란이 일어나자 순국의 뜻을 품고 임하현에서 의병을 모집하였다. 1600년 경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저서로는『송계문
이형부인동래정씨의복 / 李泂夫人東萊鄭氏衣服 [생활/의생활]
1941년 경기도 시흥시 염불암 옆에 있던 이형(李泂)의 부인 동래정씨(?∼1583)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16세기의 복식유물 6점. 출토된 복식유물은 6점(실제 5점)인데 명주솜누비장옷 1점, 명주솜누비치마 2점, 무명솜누비치마 1점, 바지 1점이다. 바지는 본래
이형상 / 李衡祥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효령대군의 10대손, 사민 증손, 할아버지는 장형, 아버지는 주하이다.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좌랑, 성주목사, 동래부사, 제주목사, 영광군수, 경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이형욱 / 李馨郁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30(인조 8). 조선 중기의 문신. 환 증손, 할아버지는 희석, 아버지는 홍, 어머니는 권습의 딸이다. 15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정랑, 홍문관수찬, 전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이형진 / 李衡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76∼1757). 1721년(경종 1) 생원시 합격 후 영릉참봉·의영고봉사·정읍현감·공조좌랑·어모장군·돈령부도정 등을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이혜 / 李嵇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5(숙종41). 조선 후기의 문신. 원필 증손, 할아버지는 통, 아버지는 경증, 어머니는 이규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봉교로 임명되었다. 이조좌랑, 동부승지, 우승지,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이호민 / 李好閔 [종교·철학/유학]
?∼1823(순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만웅의 5대손이다. 1804년(순조 4) 통정대부, 이듬해 대사간·참의를 거쳐 3년 후 황해도감사가 되었다. 1809년 이조참판·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815년 가선대부가 되고, 한성부판윤, 다시 의정부좌참찬·이조참판·대사
이홍전 / 李泓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생애 후반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필사본으로 김려(金鑢)가 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권12 「도화유수관소고(桃花流水館小稿)」에 실려 있다. 「이홍전」은 서울에 사는 사기꾼 이홍의 사기행각을 삽화식으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