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동순 / 李同淳 [종교·철학/유학]
1779년(정조 3)∼1860년(철종 11).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수증, 조부는 이세학, 부친은 이구천이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병과 12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군위현감·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동지의금부사·한성부
이동순 순흥현감 해유문서 / 李同淳 順興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32년(순조 32) 1월 29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첩정이다. 이동순(李同淳)은 퇴계의 후손으로 구천(龜天)의 아들이다. 1830년(순조 30) 7월 초3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25일에 도임하였다. 실적 437일
이동언 / 李東彦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덕여 증손, 할아버지는 민달, 아버지는 세무, 어머니는 김우의 딸이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 같은 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박사, 사간원정언, 북평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동완 / 李棟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51∼1725). 1678년 증광시에서 진사 2등 1위로 합격하였다. 저술로는《모산선생문집》이 있다.
이동직 / 李東稷 [역사/조선시대사]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775년(영조 51) 생원으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정자‧저작‧박사‧감찰 등을 역임하였고, 초계문신(抄啓文臣)에도 뽑혔으며, 홍문록에 오른 뒤 수찬이 되었다. 1792년 부교리로
이동팔 / 李東八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43년(헌종 9). 조선 후기 유학자. 8대조는 일재(一齋) 이항(李恒)이고, 생증조부는 구암(龜菴) 이성익(李星益)이다. 조부는 이대춘(李大春)이다. 어려서부터 가학을 이어서 학행에 힘써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그의 묘는 정읍시(井邑市
이동표 / 李東標 [정치·법제/법제·행정]
1644(인조 22)∼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아버지는 운익(雲翼)이며, 어머니는 김기후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진사가 되고, 1677년 증광회시에 장원하였으나 파방되었다가 168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두진 / 李斗鎭 [종교·철학/유학]
1608년(선조 41)∼미상. 조선 중기 무신. 증조는 이우인, 조부는 이상의, 부친은 이지굉이다. 동생은 이규진‧이익진이다. 1651년(효종 2) 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664년(현종 5)에는 충청병사에 임명되었다.
이두충렬록 / 李杜忠烈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상하 2책. 국문활자본. 1914년에 간행된 문익서관본(文益書館本)이 전한다. 남자주인공 이태원과 여자주인공 두성완의 고난과 충절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남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돋보인다. 남자주인공
이두편람 / 吏讀便覽 [언어/언어/문자]
편자 및 간행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이두 및 이문(吏文) 어휘를 모아놓은 책. 1829년(순조 29)이거나 그 이듬해에 관각문신(館閣文臣)에 의하여 운각(芸閣)에서 활판인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두표기법에 통일성을 기하라는 왕명에 의하여 이두어휘 300여와 『이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