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이박 / 李璞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진문이다. 1636년(인조 14) 무과급제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천군수 이각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웠다. 1637년 소현세자가 볼모로 적도 심양에 갈 때 시위하였고, 돌아와서 선전관이

  • 이발 / 李潑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달선 증손, 할아버지는 공인, 아버지는 중호, 어머니는 윤구의 딸이다. 김근공·민순의 문인이다. 1573년(선조 6) 알성문과에 장원, 이듬해 사가독서를 하고, 이조정랑으로 발탁되었다. 1579년 응교,

  • 이방 / 吏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관서에서 인사 관계의 실무를 맡아보던 부서 또는 그 일에 종사하던 책임 향리. 지방관서의 행정업무도 중앙부서와 같이 6전 체제로 편성하였으므로 이은 향리의 인사·고과 등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또 이방은 지방아전의 대표자이며, 호방·형방과 함께 3공형으로

  • 이방소관승후관진부진단자 / 吏房所管承候官進不進單子 [정치·법제]

    고종 때 이방 소관의 승후관의 근무 여부를 기록한 단자. 승후관은 임금의 환후나 출산을 앞둔 왕후 등의 기거 및 안부를 여쭙는 관원으로 대개 임금의 종친이나 외척 중에서 임명되었다. 이 단자에는 이헌직, 민응식, 민영환, 민경호, 이범진, 민치헌, 이경직, 민병승 등

  • 이방익 / 李邦翼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

  • 이벽 / 李檗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1754∼1786). 초기 천주교인. 1779년(정조 3) 기호 지방의 남인 학자들이 광주의 천진암과 주어사에서 강학회를 열었을 때, 천주교에 대한 지식을 동료 학자들에게 전하여 신앙운동이 일어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말년에 효 사상과 천주교 사상

  • 이벽선생몽회록 [문학/고전산문]

    1777년(정조 1)정약종(丁若鍾)이 지은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뎡아오스딩’은 정약종의 세례명이므로 정약종이 정유년에 기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

  • 이별육가 / 李鼈六歌 [문학/고전시가]

    15세기 후반에 이별(李鼈)이 지은 연시조. 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는 3행(한역의 5·6구)에 화자의 선언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 작품은 개별 작품이 일관된 태도를 표명하면서 단위로서의 서정을 드러내는 연시조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

  • 이병 / 李炳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학자. 식의 현손, 할아버지는 익, 아버지는 인실이다. 저서로는 단천에 유배되었을 때에 지은『부춘당북천록』이 있다.

  • 이병립 / 李柄立 [역사/근대사]

    1904년(광무 8)∼미상. 1917년부터 1919년 화룡현 공립 제16국민학교, 1924년 중동학교를 졸업, 연희전문학교 진학하여 재학 중 1924년 박일병·김찬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운동 단체인 신흥청년동맹 집행위원에 선임, 1925년에는 이선호·정달헌 등과 함께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