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구응 / 李龜應 [종교·철학/유학]
1729년(영조 5)∼1789년(정조 13).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부친은 이세덕이다. 공릉참봉·정산현감·하양현감·영덕현령 등 주로 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영덕현령 때는 농사를 장려하고 학풍을 일으키는 등의 선정을 베푼 공이 인정되어 표리를 하사받기도 하였으나,
이국형 / 李國馨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유학자. 이덕명 후손, 고조는 이언경, 증조는 이락, 조부는 이광주이다. 부친은 이유신, 모친은 홍응원의 딸이다. 부인은 윤화교의 딸이다. 1713년(숙종 39) 증광시 생원 2등 15위로 합격하였다. 그러나
이군색 / 二軍色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기병과 보병의 보포 및 대궐 내외의 고립을 관장하였던 병조소속의 관서. 원칙적으로 기병은 4명으로 1호, 보병은 3명으로 1호를 편성하였다. 당번은 1년을 6번으로 나누어 궁궐의 문 및 종묘·사직·전·궁, 2개소의 빈궁궐을 파수하였다. 당번이 정지된 기병과
이귀 / 李貴 [종교·철학/유학]
1557(명종 12)∼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석형 5대손, 수장의 증손, 할아버지는 기, 아버지는 정화, 어머니는 권용의 딸이다. 삼도선유관형조좌랑. 배천군수, 숙천부사, 호위대장,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묵재일기≫ 3권이 있다.
이규팽 / 李圭祊 [종교·철학/유학]
1791년(정조 1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증조는 이진원, 조부는 이집두, 부친은 이일영이다. 1823년(순조 23) 정시 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 1826년(순조 26)에는 홍문록에 올랐다. 홍문관교리, 성균관대사성, 의주부윤, 이조참의, 황해도관찰사, 한성부
이극돈 / 李克墩 [종교·철학/유학]
1435년(세종 17)∼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집의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57년(세조 3) 친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전농시주부, 1459년(세조 5) 형조좌랑이 되었다. 1501년(연산군 7) 병조
이극배 / 李克培 [종교·철학/유학]
1422(세종 4)∼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문신. 집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이다.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47년(세종 29)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 감찰, 경상도관찰사, 병조참판, 집현전제학, 우참찬, 판중추부사
이근명 / 李根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대신·친일파(1840∼?). 1871년(고종 8)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궁내부특진관·춘천부관찰사·궁내부특진관·중추원의관·태의원경 등 요직을 거쳤다. 훈1등태극장과 대훈위 이화대수장을 받았으며, 일제로부터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이근명임명문서 / 李根命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8월 31일. 궁내부 특진관 이근명(李根命)을 영친왕의 황태자 책봉시 정사로 임명하는 문서. 이근명은 조선 말기 대신이자 친일파 관료이다. 당시 궁내부대신 이윤용(李允用)이 순종의 명을 받아 발급한 것이다. 날짜 우측에는 순종의 어압과 <제고지보>
이근우 / 李根友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1∼?). 1821년(순조 21) 경과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우참찬·사헌부대사헌·형조판서·형조판서·의정부우참찬 등을 지냈다. 1871년 대호군에 있으면서 추상존호도감에서 근무하였고, 이후 판의금부사·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