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광정 / 李光庭 [종교·철학/유학]
1552(명종 7)∼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말 증손, 할아버지는 경종이다. 아버지는 주, 어머니는 유사필의 딸이다. 1590년 교관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정자, 동부승지, 이조참의, 호조참판, 지중추부사, 예조판서, 개성유수 등을
이광정 / 李光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4∼1789).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15세의 나이로 싸웠으며, 이황의 학풍을 추모하여 사단칠정과《근사록》을 공부하였다. 지방의 석학들과 사귀면서 예설을 정리하기도 하였다. 저서로《소산집》이 있다.
이광좌 / 李光佐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현손. 성남 증손, 할아버지는 시현이다. 아버지는 세구, 어머니는 박장원의 딸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했다. 부수찬, 사헌부헌납, 전라도관찰사, 이조참의, 함경도관찰사, 호조
이광하 / 李光夏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경헌, 아버지는 합, 어머니는 민성휘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좌승지, 함경도관찰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이광희 / 李光熹 [종교·철학/유학]
1688년(숙종 14)∼1746년(영조 22). 조선 후기의 유학자. 자는 사회(士晦), 호는 태화당(太和堂). 태어나면서부터 충채가 컸고 천성은 순박하고 후덕하였다. 다른 사람을 대할 때에는 친하고 친하지 않음을 가리지 않고 도와주는 기풍이 있었다. 큰 아버지에게 글
이교악 / 李喬岳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인 증손, 할아버지는 사익, 아버지는 후망, 어머니는 송담록의 딸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705년 알성문과에 장원하고 지평이 되었다. 1712년 이후 정언·좌승지·황해도관찰사·수원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구 / 李構 [종교·철학/유학]
1484(성종 15)~1536(중종 31). 조선 전기의 학자. 이국 증손, 할아버지는 이문흥, 아버지는 이세준이다. 1510년(중종 5) 진사가 되고, 1519년(중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합격, 검열이 되었으나 기묘사화로 투옥되었다가 하루 만에 석방되었다. 향약
이구 / 李球 [종교·철학/유학]
?∼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종실. 아버지는 병원, 아들이 이하응이다.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 진에게 입양하여 남연군에 봉해졌다. 부인은 여흥민씨이다. 1771년(영조 47) 양부 은신군이 김구주 등의 모함으로 관작을 빼앗기게 되어 제주도에 위리안치된 뒤 변
이구 / 李榘 [종교·철학/유학]
1613∼1654(광해군 5∼효종 5). 아버지는 광흡, 어머니는 장수황씨이다. 황희의 후손 시간의 따님에게 장가 들었는데, 광해군의 난정을 보면서 세도에 뜻을 잃고 처향인 문경으로낙남하였다. 젊어서 <주자서>‧<퇴계집> 등 성리서에 심취하여 천인 성명의 이치에 통달
이구성 / 李龜星 [종교·철학/유학]
1756년(영조 32)∼1835년(헌종 1).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이계양 후손, 증조는 이구, 조부는 이수원. 부친은 이세익, 모친은 김경헌의 딸 이다. 형 이구운이 있다. 1790년(정조 14) 성균관에서 응교에 뽑혔다. 원릉참봉, 경기전참봉·선공감봉사·의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