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경한 / 李景漢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부친은 이진이다. 천문으로 장차 임진왜란이 일어날 기미를 예측하고 이극복과 이백인 등과 경주 안압지에 모여 국난이 일어나면 의병을 일으킬 것을 약조했다. 왜란이 발발하자 형인 이경해와 아우 이경호와 함께 의병에 참여하여 크게 전공을 세
이경호 / 李景祜 [종교·철학/유학]
1705년(숙종 31)∼1779년(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보혁 아들, 정제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35년(영조 11)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의금부도사·지평현감·담양부사를 역임하고, 1753년 충주목사로 있을 때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장례원판결사·
이경화 / 李景華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06(숙종 32). 조선 후기의 의학자. 송시열의 문인이다. 1660년(현종 1)에 생원이 되었으며, 침구에 능하고 경사백가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광제비급≫과 ≪풍계집≫이 있다.
이경휘 / 李慶徽 [종교·철학/유학]
1617(광해군 9)∼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제현 후손, 경윤 증손, 할아버지는 대건, 아버지는 시발, 어머니는 신응구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기사관, 강화유수, 경기감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계동 / 李季仝 [역사/조선시대사]
1450(세종 32)∼1506(중종 1). 조선 중기의 무신. 1470년(성종 1)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훈련원판관에 임명되었다. 1476년 무과 중시에 급제해 종친부전첨, 창성부사, 동부승지, 형조참판, 선전관, 함경도절도사, 경기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
이계룡전 / 李季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 이계룡 부자의 지극한 효성과, 이계룡 모친의 시아버지에 대한 효성, 남편에 대한 정성을 표현한 윤리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후반에서는 주인공 이계룡이 산적을 토벌하고 위기에 놓여 있는 황제를 구
이계우 / 李啓宇 [종교·철학/유학]
1786 - 1833.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필이 5세조, 부친은 이만규, 어머니는 한경의 딸이다. 생부는 이현규, 생모 는 윤성진의 딸이다. 1830년(순조 30) 문과에 급제한 이후의 관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서, 평소 독서를 좋아하여 경사에 널리 통달했으며 특
이계조 / 李啓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1856). 1831년(순조 31)에 판관으로서 식년 문과에 갑과 제 2인으로 급제하여 이조참의·경상감사·대사성·공조판서의 벼슬을 역임하고,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그의 서예 작품으로〈경릉비〉가 있다.
이계집 / 尼溪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박래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5책. 목활자본. 1893년(고종 30) 후손 치복(致馥)과 외손 김진호(金鎭祜)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이계집』 권두에 남헌구(南獻求)와 치복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김진호의 발문이
이곽 / 李廓 [종교·철학/유학]
1590(선조 23)∼1665(현종 6). 조선 중기의 무신. 태종의 아들 경녕군 비의 6대손, 아버지는 유인이다. 신장이 8척이나 되고 음성이 큰 종소리 같았으며, 힘이 장사였다. 이항복의 추천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이후 충청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