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윤용 / 尹熔 [종교·철학/유학]

    1708(숙종 34)∼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화가. 윤선도의 후손 두서의 손자, 덕희의 차남이다. 1735(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할아버지 두서와 아버지 덕희로부터 그림에 대한 재능을 이어받고 문장에도 뛰어났으나 33세로 요절하였다. 산수화는 가

  • 윤용구임궁내부대신고명 / 尹用求任宮內府大臣誥命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1월 10일. 고종이 윤용구(尹用求)를 궁내부대신으로 임명한 고명. 《고종실록》에 의하면, 윤용구는 규장각학사에서 궁내부대신으로 임명된 것으로 나온다. 을사조약 후 일본 정부에서 남작을 수여하였으나 거절하였다. 고명은 원래 황제가 제후나 5품

  • 윤용구임명문서 / 尹用求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5월 27일. 종1품 숭록대부 궁내부특진관 윤용구(尹用求)를 규장각학사 겸 시강원일강관 칙임관 1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재극(李載克)이 봉칙하였다. 윤용구가 임명된 일강관은 대한제국기에 시강원의 칙임관으로, 고종 31년에 처음 설치하

  • 윤우정 / 尹遇丁 [종교·철학/유학]

    1617(광해군 9)∼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성 증손, 할아버지는 자신, 아버지는 유길, 어머니는 임선의 딸이다. 166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병조정랑을 거쳐 사간·정언·지평이 되었다.

  • 윤원거 / 尹元擧 [종교·철학/유학]

    1601(선조 34)∼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학자. 전 아들, 어머니는 윤효지의 딸이다. 1633년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해 1635년 성균관재생으로 들어갔다. 1658년(효종 9)부터 학문과 덕행으로 추천되어 공조좌랑·정랑·종부시주부·성균관사업·사헌부지평

  • 윤원형 / 尹元衡 [종교·철학/유학]

    ?∼1565(명종 20). 조선 중기의 문신. 계겸 증손, 할아버지는 욱, 아버지는 지임, 어머니는 이덕숭의 딸이다.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의 동생이다. 1533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벼슬길에 올랐다. 수찬, 응교, 좌부승지, 공조참판,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였

  • 윤유근 / 尹惟謹 [종교·철학/유학]

    1599(선조 32)∼1660(현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홍의이다. 1627년(인조 5) 진사시에 합격하여 공릉참봉이 되고 의금부도사·군자감판관·형조좌랑·호조좌랑 등을 거쳐 의성현감이 되었다. 이 무렵 허적 등 남인들에 의하여 양민을 압박하여 노비로 삼았

  • 윤유기 / 尹唯幾 [종교·철학/유학]

    1554년(명종 9)~미상.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윤홍중, 생부는 윤의중이다. 형은 윤유심이다. 부인은 구운한의 딸이다. 세자시강원필선, 사간원헌납, 병조참지, 경주부윤, 남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윤유심 / 尹唯深 [종교·철학/유학]

    1551~1612. 윤의중의 큰아들이다. 1576년에 동생과 나란히 생원시에 합격했다. 관직은 장단부사, 예빈시부정을 지냈다. 아버지인 윤의중이 죽은 후에도 오랫동안 관작이 회복되지 못하자 동생과 함께 여러 차례에 걸쳐 억울함을 풀어달라는 상소를 올려 결국 복관되었다

  • 윤음언해 / 綸音諺解 [언어/언어/문자]

    왕이 백성이나 관리들에게 내리는 조칙(詔勅)의 일종인 윤음을 언해한 책. 윤음은 대개 비상시의 민심수습, 흉년에 민정위로, 세금 및 공물(貢物)의 탕감, 왕가(王家)의 경사시 하사품(下賜品), 천주교에 대한 척사(斥邪)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 영조·정조 때의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