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임진왜란 / 壬辰倭亂 [정치·법제/국방]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 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 1차 침입이 임진년에 일어났으므로 ‘임진왜란’이라 부르며, 2차 침입이 정유년에 있었으므로 ‘정유재란’이라 한다. 하지만 임진왜란 하면 일반적으로 정유재란까지 포함시켜 말한다.
임진왜란피로인 / 壬辰倭亂捕虜人 [사회/사회구조]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에 의해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 민간인들을 부르는 말. 피로인이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에 의해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들로, 일반적으로 조선에서는 피로(被虜), 피로조선인(被虜朝鮮人), 부로(俘虜), 부인(俘人)으로 불렀는데, 전쟁 중에 사로잡힌 사람
임처진 / 林處鎭 [종교·철학/유학]
1769년(영조 4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임진 후손, 증조는 임기, 조부는 임도헌, 부친은 임태원이다. 생부 임제원과 모친 이신휘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경승의 딸이다. 1805년(순조 5) 증광시에서 병과 14위로 문과 급제하였고, 1826년(순조
임천별곡 / 林川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이운영(李運永)이 지은 가사. 가사집 『언사(諺詞)』에 수록되어 있는 일곱 작품 가운데 하나다. 작자는 어린 시절부터 문장을 좋아하고 농담을 즐겨했는데, 이러한 기질이 「임천별곡」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 작품은 세상의 온갖 부귀와 물욕을 떠난 한 늙은이가
임천향교 / 林川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1849년(헌종 15)에 이행익(李行翼)이 명륜당과 동재(東齋)·서재(西齋)를 중수하였다. 1924년
임필대 / 任必大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임수국이다. 이의태·권렴·최흥원·김낙행·이상정 등과 교유하였다. 1771년(영조 47) 향교의 훈장이 된 후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가르쳤다. 저서로《문회약조》·《제의문결약조》·《봉선절목》 등
임하필기 / 林下筆記 [종교·철학/유학]
문신 이유원의 수록류를 모아 엮은 책. 39권 33책. 필사본. 1871. 권1「사시향춘관편」, 권2「경전화시편」, 권3·4「금석해석묵편」, 권5·6「괘검여화편」, 권7「근열편」, 권8「인일편」, 권9·10「전모편」, 권11∼24「문헌지장편」, 권25∼30「춘명일사편」
임한수 / 林翰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7∼1886). 1846년(헌종 12) 식년시에 병과로 급제, 1848년 정언·교리·종부시정을 지냈다. 1868년에 대사간과 이조참판을 역임, 1875년 진하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의주부윤과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는데 일본인들이
임해군 / 臨海君 [역사/조선시대사]
1574(선조 7)∼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왕자. 어머니는 김희철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명에 의하여 순화군과 함께 김귀영·윤탁연 등을 대동하고 근왕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함경도로 떠났다. 사옹원제조를 역임하였다.
임헌회 / 任憲晦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811∼1876). 이조참판·대사헌 등에 임명되기도 했다. 경학과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낙론으로 이이·송시열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제자로는 전우가 있고, 저서로는 《전재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