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총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사헌대 / 司憲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초기의 감찰기구. 995년 어사대로, 1014년(현종 5) 금오대, 1015년 금오대를 파하고 다시 사헌대로 개칭하면서 대부·중승·잡단·시어사헌·전중시어사헌·감찰사헌 등의 대관직을 두었으나, 1023년 다시 어사대로 바뀌었다. 사헌대는 개경 외도 분사제도의 실시
삭녕 / 朔寧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지역의 옛 지명. 고려 때의 삭녕현과 승령현(僧嶺縣)을 합한 지역이다. 삭녕현은 본래 고구려의 소읍두현(所邑豆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삭읍(朔邑)이라 고쳐 토산군(兎山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때 지금의 이름인 삭녕이라 고쳤고, 101
산랑 / 散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6품의 관직. 고려 때 선부·고공사·총부·민부·언부·도관·예부·공부에 속해 있던 정6품 관직으로, 전신은 원외랑이다. 국초 이래 원외랑이라 일컬어지다가 1275년(충렬왕 1) 10월 좌랑, 1298년 1월에 다시 원외랑, 곧 다시 좌랑, 1308년 6월 산
산정도감 / 刪定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문종 때 율령 책정을 목적으로 설치된 관서. 소속 관원으로는 갑과권무(甲科權務)의 판관(判官) 4인, 이속(吏屬)으로서 기사(記事) 6인, 기관(記官) 1인, 산사(算士) 1인을 두었다. 1391년(공양왕 3) 혁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직 / 散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에 직사가 없었던 관직. 고려시대의 산직에는 산직장상·산직장교·내시산직원·다방산직원·내시산직인리 등 서반유외직과 허직으로서의 유내산직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폭 개편되어 무급산직으로 변모하였다. 즉, 조선 세종·세조대를 거치면서 고려의 유록검교직이 무록
산학 / 算學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에 편제된 경사육학의 하나. 취학자의 신분에 따른 학과선택으로 8품 이상의 자제와 서인이 입학, 7품 이상으로서 원하는 자도 들어올 수 있었다. 설치 초기는 박사와 조교를 두어 교수에 임하였으며, 문종 때 직제를 고쳐 종9품의 산학박사 2인을 두어 산술
삼구육명 / 三句六名 [문학/고전시가]
고려 초에 최행귀(崔行歸)가 말한 향가(鄕歌) 또는 당시 한국시가 구성의 특징. ‘삼구육명(三句六名)’은 967년(광종 18)에 최행귀(당시 한림학사)가 균여(均如, 923∼973. 당시 귀법사歸法寺 주지) 작 10구체 향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보현십종원왕가普
삼례업 / 三禮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방법은 첩경과 독경으로 치렀는데 ≪예기≫를 대경, ≪주례≫와 ≪의례 ≫를 소경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국자감시가 있어 일
삼반봉직 / 三班奉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정9품 관직. 본래 송나라에서 시종무관의 최하위직이던 것으로, 고려에서는 남반의 관직이 되었다. 문종 관제에서의 전전승지가 1116년(예종 11)에 개칭되었다. 정원은 전전승지와 마찬가지로 8인이었을 것이다. 1308년(충렬왕 34) 액정국이 내알사
삼반차사 / 三班差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남반 초입사직. 문종 관제에서의 상승내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동반이나 서반에 비해 천시되던 남반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308년(충선왕 복위년) 액정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