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총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현무기 / 玄武旗 [정치·법제/국방]
조선 시대에 군기인 대오방기의 하나. 진영의 뒷문에 세워 후군ㆍ후영ㆍ후위를 지휘한 사각기. 검정 바탕에 뱀이 거북을 감고 있는 모양과 청ㆍ홍ㆍ황ㆍ백의 구름무늬가 그려져 있고, 백색 화염각이 달려 있다. 영두ㆍ주락ㆍ장목이 달려 있는데, 기폭은 견을 사용하였다. 대가ㆍ법
현부인 / 縣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종2품 작호. 종친인 정2품의 숭헌대부(崇憲大夫)·승헌대부(承憲大夫)의 적처와 종2품의 중의대부(中義大夫)·정의대부(正義大夫)의 적처를 봉작하여 이들 모두를 일컫는다.
현신교위 / 顯信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5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彰信校尉)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좌권독·우권독·부사직·현령 등이
현종시호등망단 / 顯宗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18대 국왕 현종이 승하한 뒤 시호, 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674년(숙종 즉위년) 8월 빈청에서 올린 대행대왕시호등 망단. 이 망단은 시호를 '순문숙무경인창효(純文肅武敬仁彰孝)'로, 묘호를 '현종(顯宗)'으로, 전호를 '효경(孝敬)'으로, 능호
현주 / 縣主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왕세자의 서녀에게 내린 정3품 작호. 조선 초기 세종 때는 군주(郡主)와 함께 종실의 딸을 일컬었다. 그러나 군주와의 차등의 분별을 갖추기 위하여 중국 고대의 제도를 상고하여 세자의 적실녀를 군주(정2품), 서녀를 현주로 정하여 ≪경국대전≫에 법제화
현학기 / 玄鶴旗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시대 의장기의 하나. 흰색 바탕의 사각기. 검은 학과 청ㆍ적ㆍ황ㆍ백의 구름무늬가 그려져 있고, 백색의 화염각이 달려 있다. 대가 노부ㆍ법가노부ㆍ소가 노부, 어장 등에 사용하였다. 천하태평기가 중앙에 서고, 다음으로 현학기 한 개가 왼편에 서고, 백학기 한 개가 오
협률랑 / 協律郞 [정치·법제/법제·행정]
나라의 제향이나 진연 때에 풍류를 아뢰는 일을 맡은 벼슬. 종묘ㆍ제향을 담당하는 봉상시의 정7품의 협률랑은 음악을 연주하는 일을 담당한 관원이고, 2명이 정원이었다. 종묘 배알을 할 때의 의식 절차에 의하면 통례문이 협률랑의 자리를 전계 위 서쪽 가까이 동향하여 설치하
형난공신 / 亨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광해군 때 김직재의 옥을 다스리는 데 공이 있던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612년(광해군 4) 2월 봉산군수 신율 등이 당시 황해도에 있던 김직재·백함 부자가 역모를 주동하였다고 무고하여 일어난 사건. 처음에는 무려 170명이 책록, 뒤
형법대전 / 刑法大全 [정치·법제/법제·행정]
1905년에 공포된 조선 말기의 법전. 국한문 혼용체. 5편 17장 680조로 구성되었다. ≪형법대전≫의 구성내용은, 법례·죄례·형례 및 율례 상하의 5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편은 다시 장·절로 세분되어 있다.
형조 / 刑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관서의 하나. 의금부·한성부와 아울려 삼법사라고 일컬어지고, 사헌부·사간원과 함께 삼성이라해 의금부에서 국문할 때는 삼성이 동참하기도 하였다. 법률·상언·사송, 노예에 관한 정사를 관장하던 고려시대의 형부가 전법사(典法司)로 격하되었다가 1389년(공양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