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반야바라밀다심경 / 般若波羅蜜多心經 [언어/언어/문자]

    당나라 법장(法藏)의 『반야심경약소(般若心經略疏)』에 대한 송나라 충희(忠希)의 주해본에 한글로 구결(口訣)을 달고 번역한 책.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금강경언해(金剛經言解)』와 동시에 간행되었다. 따라서 간경도감 도제조(都提調) 황수신(黃守身

  • 반어법 / 反語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표현하려는 원뜻과 정반대되는 말로 표현하는 수법이다. 이에는 표면상으로는 칭찬하면서도 원뜻은 비난하려는 것과 표면상 비난하는 것 같지만 참뜻은 칭찬하려는 것이 있다. “동생을 때렸다고, 정말 잘했군, 잘했어.”는 전자의 예이고, 예뻐하면서도

  • 반의어 / 反意語 [언어/언어/문자]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가지는 한 쌍의 단어. 전통논리학에서는 개념들의 상관관계를 논의할 때에 반의의 개념들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왔다. 이 때의 개념과 단어를 같은 것으로 보면 반의개념의 단어들은 대략 다섯 종류로 볼 수 있다. 즉 개념들 사이에 서로 겹침이 없는 무

  • 받침 [언어/언어/문자]

    한글에서 모음자(母音字) 밑에 받쳐 쓰는 자음 글자. 『훈민정음』에서는 ‘종성(終聲)’이라고 하였다. 현대국어에서 쓰고 있는 받침은, ‘하나받침(홑받침)’·‘둘받침’·‘쌍받침’ 등이 있는데 모두 28개이다. 셋받침 이상은 쓰이지 않는다. ① 하나받침으로는 ㄱ(목·먹다)

  • 발심수행장언해 / 發心修行章諺解 [언어/언어/문자]

    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을 언해한 책.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의 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 방언 / 方言 [언어/언어/문자]

    독립된 체계를 가진 한 언어의 분화체 또는 그 변종. 통상적으로는 한 언어의 변종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한때는 방언이 표준어에 비해 열등하다는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표준이 아닌 말이나 교양 없는 말로 정의되기도 하였으나, 언어 구조상으로 방언과 표준어 또는 방

  • 방언집석 / 方言集釋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편집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한(漢)·한(韓)·청(淸)·몽(蒙)·왜어(倭語)의 5개 언어로 편찬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이다. 『방언집석』 속에는 ‘방언유석(方言類釋)’·‘방언집석(方言輯釋)’이라는

  • 방언학 / 方言學 [언어/언어/문자]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체계와 방언현상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개개의 방언 또는 그 하위 방언을 하나의 독립된 언어체계로 보고 기술적인 연구 또는 세대차 등을 고려한 역사적인 연구를 행하기도 하고, 둘 이상의 방언들을 대조·비교하여 공시론적으로 또는 통시론적으

  • 방점 / 傍點 [언어/언어/문자]

    중세 후기 국어(15∼16세기)의 정음 자료에서 음절에 따라 그 음절의 높낮이를 보이기 위하여, 그 글자의 왼쪽에 찍어 놓은 둥근 점. 정음 창제와 더불어 발명된, 매우 독특하고 창의적인 낱말의 높낮이 표기 기호의 일종이다.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자세한 표기 규칙과

  • 방종현 / 方鍾鉉 [언어/언어/문자]

    1905∼1952. 국어학자. 1926년오산중학교(五山中學校)를 거쳐, 1934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학 및 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동대학원에 입학하여 1938년 9월까지 국어학을 연구하였는데, 그 사이인 1936년 11월부터 1937년 7월까지 동경제국대학 대학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