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사회 총 7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사회
대가족 / 大家族 [사회/가족]
부부와 그들의 미혼자녀 이외에 더 넓은 범위의 친족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족을 일반적으로 이르는 말.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중국의 종법제에 입각한 가족제도를 이상적인 가족제도로 여기게 되었다. 고려시대까지는 양변적 방계가족이라 할 수 있는 확장 규칙
대공 / 大功 [사회/가족]
상례의 오복제도(五服制度)에 따른 상복. 상복을 입어야 하는 범위의 친척을 대공친이라고 부르며, 이 옷을 만들 때 사용하는 베를 가리켜 대공포라고 한다. 한편, 자최복까지는 재료인 베를 생포(生布)로 규정하고 있는 데 비하여, 대공복 이하의 재료는 숙포(熟布)로 규정하
대구부 호적대장 / 大邱府 戶籍大帳 [사회/촌락]
조선후기 경상도 대구부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면리별로 정리하여 엮은 관찬서. 호적대장. 대구부는 경상도의 감영(監營)이 설치된 조선후기의 주요한 행정도시 중의 하나였다. 1601년(선조 34) 경상감영의 설치 이후 대구부는 경상도의 행정중심지로써 발전함에 따라
대구부 호적대장 / 大邱府 戶籍大帳 [사회/촌락]
조선후기 경상도 대구부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면리별로 정리하여 엮은 관찬서.호적대장. 현존하는 조선의 호적대장으로 단성, 대구, 울산, 언양 지역의 호적대장이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 중 대구부 호적대장은 도시부와 농촌부가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양적으로도
대동회 / 大洞會 [사회/촌락]
촌락사회의 운영을 논의하고 의결하는 자치적인 집회조직. 흔히 ‘동회(洞會)’·‘대동계(大洞契)’·‘동계(洞契)’·‘이중계(里中契)’라고도 한다. 이런 명칭들은 엄격히 따지면 각각 내용상의 차이가 있다. 대동회·동회·이중계는 촌락사회의 운영을 논의하기 위한 회합을 말한다
대렴 / 大斂 [사회/가족]
시신을 입관하는 상례(喪禮)중의 절차. 대렴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집사자가 대렴할 옷과 이불을 준비하여 탁자를 동벽 아래에 설치하고 옷과 이불을 가져다놓는데, 옷은 가짓수의 많고 적음에 구애되지 않으며 이불은 솜이 든 것을 사용한다. 대렴에 쓰이는 여러 가지 기
대마관리법 / 大麻管理法 [사회/사회구조]
대마의 관리를 적정히 하고 그 유출을 방지해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1976년 4월 7일 제정되어 1977년 1월부터 시행한 법률. 「습관성의약품관리법」은 제정 후 3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1970년 11월 7일부터 발효되었다. 그러나 대마흡연은 수그러들지 않았
대상 / 大祥 [사회/가족]
사망한 날로부터 만 2년이 되는 두번째 기일(忌日)에 지내는 상례(喪禮)의 한 절차. 대상은 명자(冥者)에 대한 두번째 제사라고도 할 수 있으며, 대상으로 상을 벗으면 다음 주년(周年)부터는 정식 기제사(忌祭祀)로 바뀌게 된다. 소상(小祥)과 아울러 상례 중에서 가장
대장장이 [사회/사회구조]
철, 구리, 주석 등 금속을 달구고 두드려 연장과 기구를 만드는 장인. 들의 작업장인 대장간에는 풀무와 화로가 기본적인 설비이고, 그밖에 모루, 메, 망치, 집게 등의 연장이 있었다.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풀무로 화로의 불을 피워 쇠를 달군 뒤 메질과 담금질을 계속한다.
대중문화 / 大衆文化 [사회/사회구조]
대중매체에 의해 상품으로 대량 생산, 재생산되어 대중에 의해 소비되는 문화. 대중문화는 크게 세 가지의 층위를 포괄한다. 즉 대중문화 텍스트의 생산과정, 텍스트 자체, 그리고 텍스트의 수용과정이 그것이다. 영화, 드라마, 대중음악 등 대중문화 텍스트는 주로 대중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