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 무용 2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무용
  • 의암별제가무 / 義巖別祭歌舞 [예술·체육/무용]

    1868년(고종5) 진주성 촉석루에서 연행되기 시작한 논개 제사용 노래와 춤. 정현석이 1867년(고종4) 진주목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의기사(義妓祠)를 중건하고, 그해 6월의 좋은 날을 택해서 ‘의암별제’를 유교식으로 거행했다. 제사에는 3인의 제관(祭官) 이하 필요한

  • 이갑조 / 李甲祚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1901∼1974.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나 태평동에서 살았다. 17세 때부터 노덕규(盧德奎)로부터 피리·대금·해금·장구를 배웠고,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 이동안 / 李東安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발탈」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전통무용가. 경기도 화성군 송곡리 출생. 화성 재인청 도대방이었던 이재학(李在學)의 아들로 태어났고, 집안은 대대로 세습 재인집단이었다.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나 14살 무렵 남사당패를 따라 가출하

  • 이병삼 / 李丙三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구미무도학관 관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교육자. 러시아 해삼위(海參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했다. 이병삼은1920년대에해삼위 학생음악단의 박시몬, 해삼위 동포연예단의 김동한과 더불어 해삼위에서 온 이른바 무도 3인방으로 알려져 있었다. 1923년 5월부터

  • 이석예 / 李石藝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조선무용예술협회 현대무용부 위원으로 활동한 무용가. 고향과 출생년이 분명치 않다. 무용가 최승희의 제자 중 일인이다. 최승희의 세계일주 공연 후 1941년 문하에 들어간 듯하다. 1942년 12월 6일부터 22일까지 동경 제국극장에서 열린 ‘최승희독무공연’의

  • 이윤례 / 李潤禮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제 제12호「진주검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무용가. 1903∼1995.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기예능 보유자. 경상남도 진주 출신. 진주검무 장단과 무용을 특기로 하였다. 1912년 제일 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3세에 진주에서

  • 이음전 / 李音全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의 검무, 장구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 1930년 진주권번에 입적하여 1937년최완자(崔完子)로부터 진주검무를 전수받았으며, 배울 당시 김자진(金子眞), 이윤례(李潤禮), 최예분(崔禮分) 등과 같이 전수받았다.진주검무

  • 인천시립무용단 / 仁川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81년 인천지역 문화 창달과 한국 전통 무용의 계승발전을 위하여 창단된 인천광역시 산하의 시립무용단. 1981년 인천시민회관에서 「굴레야 굴레야」로 창단공연을 가진 이래 매년 2회의 정기공연 등 160여 회의 여러 가지 행사를 개최하여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해 왔다.

  • 임성남 / 林聖男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국립무용단 초대단장, 국립발레단 단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안무가, 발레교육자. 전주사범학교에 입학하여 4학년 때 전주 도립극장에서 있었던 한동인(韓東人) 발레단의 공연을 보고 그의 제자가 되었다. 1947년 4월 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한동인 발레단의 공연

  • 자화상 / 自畵像 [예술·체육/무용]

    남정호의 현대무용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을 돌이켜보는 성찰적 작품. 1988년 한국현대춤작가전에서 초연한 남정호의 대표작으로 인간 군상에 대한 유쾌한 춤적 소묘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남정호는 보자기를 등장시켰는데, 색색가지 보자기를 뒤집어썼다 벗었다 하고 그

페이지 / 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