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사회 7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사회
  • 남아선호사상 / 男兒選好思想 [사회/가족]

    부계 혈통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여자 아이보다 남자 아이를 선호하는 관념을 가리키는 사회용어. 남아선호사상(男兒選好思想)은 남존여비(男尊女卑)로 표현되는 성차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한 남아선호사상은 소자녀관(小子女觀) 및 태아 성감별 등의 의료기술의 사용과 연결

  • 남양홍씨세보 / 南陽洪氏世譜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 홍일동이 1454년년에 편찬한 남양홍씨의 족보. 현재 원본은 전하지 않고, 홍일동의 서문만 후대에 간행된 족보에 구서(舊序)로 남아 있다. 이 서문에 따르면, 홍일동은 1441년(세종 23) 종형 홍지(洪智)가 제공한 남양홍씨파계지도(南陽洪氏派系之圖)와

  • 남존여비 / 男尊女卑 [사회/사회구조]

    남성의 권리나 지위 등을 여성보다 우위에 두고 여성을 업신여기는 관행. 남녀불평등 현상은 수렵·채집 사회 이외의 거의 모든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에 유교이념이 널리 퍼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남존여비라는 말로 용어화되고 관

  • 남편 / 男便 [사회/가족]

    부부관계에 있는 한 쌍의 남녀 중 남자 쪽을 가리키는 친족 용어. 부계친족제도에 기초한 우리 사회에서의 남편은 단지 ‘아내의 배우자’ 이상의 개념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관념에 의하면 아내와 남편은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가계(家系)는 남자 계통으로

  • 남평문씨본리세거지 / 南平文氏本里世居地 [사회/촌락]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있는 조선후기 남평문씨의 동족마을.세거지.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재 제3호. 11동. 11,701㎡. 약 300년 전에 남평문씨인 문재철(文在徹, 監正公)이 지금의 대구광역시 서구 성당동 부근에 입향(入鄕), 정착하였다. 그리고 그의 5대손 문달

  • 남평문씨족보 / 南平文氏族譜 [사회/가족]

    1736년 문우징 등이 중심이 되어 간행한 남평문씨의 족보. 분량은 3권 3책이며, 강양(江陽)의 해인사(海印寺)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표제와 판심제 모두 “남평문씨족보”이며, 흔히 ‘남평문씨 병진보(丙辰譜)’로 통칭된다. 크기는 반곽이 세로 23.5㎝×가로 18.

  •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건 / 南韓社會主義勞動者同盟事件 [사회/사회구조]

    1991년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조직원들이 국가안전기획부에 의해 체포된 사건.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은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한 최대의 비합법 사회주의 혁명조직이었다. 사노맹의 탄생은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 이르는 정치투쟁의 중심 기축 이

  • 납길 / 納吉 [사회/가족]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길·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납폐(納幣)·친영의 사례(四禮)를 통용하여 왔다. 납길은 가묘에서 점을

  • 내외 / 內外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남녀간의 자유스러운 접촉을 금하였던 관습 및 제도. 내외의 기원은 『예기(禮記)』내측편(內則篇) 에 “예는 부부가 서로 삼가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니, 궁실을 지을 때 내외를 구별하여 남자는 밖에, 여자는 안에 거처하고, 궁문을 깊고 굳게 하여 남자는 함부로 들

  • 넝마주이 [사회/사회구조]

    헌 옷이나 헌 종이, 폐품 등을 주워 모으는 일이나 그런 일을 하는 사람. 넝마주이는 양아치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서울의 경우 40∼50곳에 거지들이 모여 살았으며, 동냥뿐만 아니라 넝마주이를 하기도 했다. 넝마주

페이지 / 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