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총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의승기 / 義勝記 [문학/한문학]
1664년(현종 5) 임영(林泳)이 지은 한문소설. 심통성정(心統性情)을 의인화(擬人化)한 의인소설(擬人小說)로 천군소설(天君小說)의 일종이다. 작자의 문집인 『창계집 滄溪集』 권16에 실려 있다. 「의승기」는 임영이 이단상(李端相)의 문하에서 본격적으로 성리학을 배
의암별제가무 / 義巖別祭歌舞 [예술·체육/무용]
1868년(고종5) 진주성 촉석루에서 연행되기 시작한 논개 제사용 노래와 춤. 정현석이 1867년(고종4) 진주목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의기사(義妓祠)를 중건하고, 그해 6월의 좋은 날을 택해서 ‘의암별제’를 유교식으로 거행했다. 제사에는 3인의 제관(祭官) 이하 필요한
의열비충효록 / 義烈妃忠孝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에서 저자는 비의 효행과 설승상의 충(忠)을 강조하여 두 주제를 하나의 구조 안에 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설중의 충심은 효과적으로 형상화되었다고 볼 수 없다. 간신인 적대자 최훈이 설정되어 이야기가 전
이견대가 / 利見臺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전하는 이야기와 평(評)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조에 전하고, 그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고려사』에 실린 제
이계룡전 / 李季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 이계룡 부자의 지극한 효성과, 이계룡 모친의 시아버지에 대한 효성, 남편에 대한 정성을 표현한 윤리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후반에서는 주인공 이계룡이 산적을 토벌하고 위기에 놓여 있는 황제를 구
이공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주화관장신(呪花管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큰굿 때에 초공맞이 다음의 제차에서 구연되고, 불도맞이 때에도 불린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서천 서역 땅에 인간 생명의 근원이 되는 환생꽃, 재난과 멸망의 근원
이대봉전 / 李大鳳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특히 정혼자인 애봉의 활동이 더욱 두드러진다. 애봉은 정식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고, 외적이 난을 일으켰을 때, 대원수로 출전하여
이두충렬록 / 李杜忠烈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상하 2책. 국문활자본. 1914년에 간행된 문익서관본(文益書館本)이 전한다. 남자주인공 이태원과 여자주인공 두성완의 고난과 충절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남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돋보인다. 남자주인공
이등상강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 낙질본. 이 작품은 앞부분이 전하지 않아 전체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남아 있는 부분만으로도 여러 면에서 「구운몽」과 비교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유사점을 들어보면 불교적 색채가 짙다는 것, 한 남자와 여러 여자
이린전 / 李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활자본. 필사본. 1916년동창서옥(東昌書屋)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 이린이 중국에 들어가 절세미인 두소저(杜小姐)를 얻고 과거에 급제하여 승상에까지 오른다는 내용이다. 이 소설은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에 들어가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