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유수사 / 流水辭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색(李穡)이 지은 사(辭). 『목은고(牧隱藁)』 권1, 『동문선(東文選)』 권1 등에 수록되어 있다. 『초사(楚辭)』의 형식을 따라 글의 끝에 종결부인 ‘난왈(亂曰)’을 ‘내종이난지왈(迺終而亂之曰)’이라 하였다. 본문은 자구의 숫자가 일정하지 않는 18구

  • 유승상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3권 3책. 국문필사본. 가정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창복뿐만 아니라, 그의 동생 창필도 내외간의 금실이 좋지 않아 온갖 파란을 겪은 뒤에 다시 화합하게 된다. 다만 작품의 전반부는 창복을 중심으로, 후반부는 창필을 중심

  • 유씨부인유서 / 柳氏夫人遺書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서령 유씨부인이 지은 유서. 1책. 한글필사본. ‘열(烈)’은 조선조 여성에게는 매우 중요한 덕목 가운데 하나였다. 조선시대 사대부의 생활자료 속에서 남편이 죽으면 따라 죽음으로써 나라로부터 정표(旌表)를 받은 여성들의 행적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 유씨삼대록 / 劉氏三代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분량으로 볼 때 20여권이나 되는 대장편에 속하는 작품으로, 한 가문의 역사를 소설화한 가문소설이다. 이 작품의 주제는 남녀간의 애정문제를 중심으로 이끌어 나가는 유승상의 삼대의 이야기이며, 결혼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 유씨전 / 劉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유씨전」은 유씨부인의 열행(烈行)을 널리 알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보상심리로서 재생을 통한 행복한 결말을 그리고 있다. 이를 위해 ‘염라국’이라는 비현실계를 설정하고 있으나, 작품 속에서 ‘염라국’은 오히려 현실적인

  • 유여매쟁춘 / 柳與梅爭春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은 작자 미상의 산문. 한글필사본. 이 작품은 작자가 봄을 기다리는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결하고 재치 있다. 작자는 이른 봄의 버들과 매화가 봄을 두고 서로 시샘하는 것 같다고 하여, 버들은 양귀비로, 매화는 매비로 의인화함으로써 인정기미를

  • 유연전 / 柳淵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항복(李恒福)이 지은 전(傳).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오랜 기간이 지난 뒤에 주위 사람들에 의하여 옥사가 바로 잡혀 누명을 벗는다는 내용의 작품이다. 『백사집(白沙集)』 권16 잡저에 수록되어 있다. 「유연전」은 음모에 따른 사건이 매우 치밀하고 대규모적

  • 유오대산기 / 遊五臺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흡(金昌翕)이 지은 기행문. 『삼연집 三淵集』 권24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강릉에 가 있을 때 오대산을 돌아보고 쓴 기행문이다. 이 글은 작자가 유명한 학자이면서 벼슬을 버리고 한가로이 지내는 처지이므로 자연을 남보다 참되게 엿볼 수 있었을 것이라는

  • 유옥역전 [문학/고전산문]

    개화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번역소설. 1책. 국문필사본. 「아라비안나이트(Arabian Night)」의 번역소설로, 몇 개 되지 않는 개화기 번역소설의 하나이다. 고전소설의 문체로 되어 있으나 번역작품으로, 일본 번역의 중역으로 보인다. 등장인물은 모두 우리식 이름

  • 유우중문 / 遺于仲文 [문학/한문학]

    고구려 영양왕 때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지은 한시.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군 우중문(于仲文)에게 준 오언 고체의 단형시(短形詩)이다. 『삼국사기』을지문덕전에 이 시의 제작경위가 기록되어 있으며, 제목은 후대에 붙여진 것이므로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 또는 ‘유수장우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