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총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경주효불효교지 / 慶州孝不孝橋址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다리터.시도기념물. 1982년 8월 4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2004년 11월 27일 지정 해제되었으며, 같은 날 사적 제457호로 승격, 재지정되었다[기존의 경주효불효교지(경주월정교지)가 경주일정
경통 / 經筒 [예술·체육/공예]
불교의 경전이나 경문(經文)을 넣어서 보관하는 통모양의 용기. 대개 원통형·육각형·팔각형으로 되어 있다. 형태는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바깥 몸체에 양각이나 음각으로 경전의 명칭 혹은 매몰할 때의 연월일, 원주(願主)의 이름을 기입하는 예도 있다.우리 나라에서는 발
경포도립공원 / 鏡浦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저동·강문동·초당동에 걸쳐 있는 공원. 경포해수욕장은 약 6㎞에 이르는 백사장이 송림과 어우러져 도립공원의 백미(白眉)를 이루며, 이 밖에도 안목·송정·사천·연곡 등의 해수욕장이 가까이에 있다.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던 정철(鄭徹)의 「관동별곡」 전문이 새
계룡산국립공원 / 鷄龍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대전광역시 유성구,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계룡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65.34㎢로, 1968년 12월 31일에 지리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경위도 상으로는 동경 127°10′40″∼127°17′58″, 북위
계룡산청량사지쌍탑 / 鷄龍山淸凉寺址雙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청량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이후에 조성된 2기의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각각 6.9m, 4.9m.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호. 계룡산 비로봉 바로 밑 7부 능선상의 청량사터 사역 안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어‘오누이탑’이라고도 불리
계립령 / 鷄立嶺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사이에 있는 고개. 문헌상으로는 우리나라 도로사에 있어서 신라아달라왕 3년(156) 처음으로 고갯길을 개척한 곳이다. 고구려의 온달(溫達)이 “계립현(鷄立峴)·죽령의 서쪽이 우리에게로 돌아오지 않으면 나도
계반령 / 界畔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면 광성동과 남서면 산창동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577m. 강남산맥의 오봉산(五峰山, 882m)과 증봉(甑峰, 787m) 사이에 있는 고개로서 온정령(溫井嶺)·대차유령(大車踰嶺)·완항령(緩項嶺) 등과 함께 산맥의 말단부에 있다. 정주-구성-삭주-
계방산 / 桂芳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과 홍천군 내면에 걸쳐 있는 산. 계방산의 높이는 1,577.35m로, 남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이다. 차령산맥의 고봉으로 주변에는 오대산을 비롯하여, 백적산(白積山, 1,141m)·태기산(泰岐山, 1,261m)·방대산(芳臺山, 1,436m) 등
계원필경 / 桂苑筆耕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 885년(헌강왕 11) 중국 회남(淮南)에서 귀국하여 그 이듬해인 886년(정강왕 1) 그의 나이 서른 살이 되던 해에 당나라에 있을 때의 작품을 간추려 정강왕에게 바친 문집이다. 『계원필경』의 자서(自序)에 의하면,
계첩 / 戒牒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수계식 이후에 계를 받았음을 증명하는 신표로 주는 첩을 지칭하는 용어. 불교문서·계첩. 일반적으로 먼저 계를 주는 사찰 금강계단(金剛戒壇)의 이름을 밝히고, 다음에 『범망경(梵網經)』 등에서 설한 계를 지니는 공덕에 관한 글 또는 삼귀의계(三歸依戒)·오계(五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