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선사 > 청동기_고조선 총 16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선사 > 청동기_고조선
남전리지석묘군 / 南田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출토유물은 석검 2점과 석촉 1점, 홍도 2점이다. 동아대학교박물관과 밀양시립박물관에 각각 1점씩 소장되어 있다.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석검은 길이 44.5cm의 회색 점판암으로 제작된 이단병식으로 검
남제주상모리패총 / 南濟州上摹里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산이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조개더미. 민무늬토기시대 유적으로는 보기 드문 조개더미 유적이다. 이 곳에서 출토된 유물의 대부분은 민무늬토기로서 적갈색 조질민무늬토기(粗質無文土器)와 마연토기(磨硏土器) 두 종류가 있다. 적갈색 민무늬
남해다정리지석묘 / 南海茶丁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경상남도 기념물 제62호. 현재 들판의 논둑을 따라 대체로 3∼4m씩 사이를 두고 11기 가량이 분포하고 있다. 외형상 모두 기반식으로 대형의 상석 아래에는 작은 할석으로 지석을 마련한 것인데 하부구조는 잘
내가지석묘 / 內可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오상리에 있는 청동시시대의 지석묘. 출토유물 가운데 석기류는 간돌검〔磨製石劍〕, 돌화살촉〔石鏃〕, 바퀴날도끼〔環狀石斧〕, 반달돌칼〔半月形石刀〕, 돌자귀〔石手斧〕, 갈판〔耉石〕 등 비교적 다양하다. 돌화살촉은 대부분 버들잎모양〔柳葉形〕이며, 단면
내동리지석묘 / 內洞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대전광역시기념물 제3호. 고인돌이 있는 곳은 높이 80∼90m 되는 완만한 구릉지대로서, 일대는 황갈색의 황토와 부식된 화강암반으로 이루어졌는데, 여기에 ‘암소바위’라고 불리는 모두 4기의 고인돌 덮개돌[上石]이 남
내동지석묘 / 內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김해시 내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경상남도 기념물 제97호. 유적은 김해 회현동패총으로부터 서북방 약 1.7㎞의 거리에 위치한 경운산(慶雲山) 기슭에 산재해 있다. 현재는 경작으로 인해 대부분 파괴되었으며, 1976년 1월부산대학교박물관에서 3기를 발
내흥동패총 / 內興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북도 군산시 내흥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패총(貝塚). 1981년 4월 1일에 전라북도 기념물 제45호로 지정되었다가 1999년 4월 23일 해제되었다. 금강의 남쪽 해안을 따라 내륙으로 약 2km 지점에 있는 사옥(沙玉) 마을에 있다. 이 지역에 대한 지표조사로 무
노포동고분 / 老圃洞古墳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시대 집자리[住居址] 및 초기철기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유적.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보이는 벽구는 영남지방 전기 청동기시대 집자리의 한 특징이다. 골아가리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표지적(標識的) 유물이며, 주로
논산신기리지석묘 / 論山新基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신기리 고암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출토유물로는 간돌검〔磨製石劍〕 1점, 돌살촉〔石鏃〕 15점이 수습되었으나 출토상황은 알 수 없다. 모두 점판암(粘板巖)으로 만들어졌다. 돌검은 1단병식(一段柄式)으로 부여지방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식이
논산원봉리지석묘 / 論山圓峰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 돌널에서는 간돌검 1점, 돌화살촉 3점이 그 끝을 동북방향으로 향한 채 중앙부분에서 발견되었고, 또 고운 붉은간토기계통의 토기조각도 출토되었다. 석기들은 모두 점판암제이며, 돌검은 자루가 이단병식(二段柄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