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9,8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가훈별(假訓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시로 임명한 훈별(訓別). 곧 가훈도(假訓導)와 가별차(假別差)의 합성어이다. 차비양역관(差備兩譯官)이라고도 한다. 훈별은 훈도(訓導)와 별차(別差)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훈도는 사역원(司譯院)에 속한 정9품직이며, 별차는 왜관(倭館)의 훈도를 보좌하고 왜...
    유형분류제도
  • 각궁(角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소나 양의 뿔로 만든 활. 뿔활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로부터 전통적으로 사용한 활이다.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각궁은 탄력이 우수하여 크기가 작아도 사정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활의 발사 충격을 활 자체가 흡수하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각궁의 주재료인...
    유형분류물품도구
  • 각색필(各色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여러 가지 빛깔이나 모양의 붓.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쓰는 도구인데 가는 대나무나 나무로 된 자루 끝에 짐승의 털을 꽂아서 만든다. 조선통신사의 사행을 통해 일본에 전해지던 각색필(各色筆)은 주로 용편(龍鞭), 대모(玳瑁), 홍당죽(紅唐竹)으로 ...
    유형분류물품도구
  • 각선(脚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일본 사절이 승선한 배에서 육지에 오르거나 다른 배에 승선할 때 옮겨 타는 배. 사절의 본선(本船)에 딸려오지만, 도항선의 증가는 무역선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연례송사에게는 각선의 도항을 허락하지 않았다.
    유형분류물품도구
  • 각양차왜등록(各樣差倭謄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대왜관계(對倭關係)에 관한 각종 등록(謄錄)의 목록을 모은 책. 표제 제목은 『각양목록하(各樣目錄下)』이다. 대일관계 등록 16종 중에서 중요한 사항을 뽑아 정리해 놓은 목록이며, 수록연대는 1637년에서 1731년까지이다. 예조 전객사에서 1책 138장으로 편찬하...
    유형분류문헌
  • 각추(覺鎚,)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전기의 승려. 태조(太祖)의 명에 따라 1392년 11월에 일본으로 가서 무로마치막부(室町幕府)에게 왜구 금지를 요청하였다. 이에 쇼군(將軍)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滿)는 승려 젯카이추신(絶海中津)를 파견하여 왜구의 금지와 함께 피로인(被虜人)의 송환을 약...
    유형분류인물
  • 간검통사(看檢通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초량왜관에서 왜관개시(倭館開市) 때 잡상 출입을 단속하는 소통사.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솔속(率屬)」조에는 2명이 개시(開市) 때 잡상인의 출입을 관장한다고 나온다. 『초량화집(草梁話集)』에는 규정이 없다.
    유형분류제도
  • 간교지(願行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아이치현(愛知縣) 가리야시(刈谷市)에 있는 정토종(淨土宗) 사원. 원행사(願行寺). 호토쿠(寶德, 1449-1451) 연간에 창건되었으며, 산호(山號)는 소쿠조산(即成山), 원호(院號)는 고묘인(光明院)이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
    유형분류유적
  • 간노 세이린(管野淸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메이지시대의 화가. 관야청림(管野淸林). 1876년 제1차 수신사 김기수(金綺秀) 일행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화가 마쓰다 류테이(松田柳亭), 나카지마 산인(中島杉陰)과 함께 소 시게마사(宗重正)의 자택에서 수신사 일행을 만났다. 김기수의 『일동기유(日東記游)』에...
    유형분류인물
  • 간다 다카히라(神田孝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말기-메이지시대의 학자이며 관료. 이름은 모카쿠(孟恪), 호는 단가이(淡崖), 도카요(唐華陽). 신전효평(神田孝平). 미노국(美濃國) 출신. 간다 모메이(神田孟明)의 아들이다. 1847년부터 교토, 에도에서 한학(漢學)과 유학(儒學)을 배웠고, 1853...
    유형분류인물
페이지 / 98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