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9,8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가자(架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교자(轎子)를 올려놓은 들것. 가판(架板)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사람이나 물건 등을 나르는 들것을 말한다. 시내를 건널 때 교자가 물에 젖는 것을 막기 위해, 타고 가던 교자를 들것 위에 얹은 다음 교군들이 그것을 들고 물을 건너갔다. 대개 전후좌우를 합하여 ...
    유형분류물품도구
  • 가자(訶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가리륵(訶梨勒)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가리륵은 가자나무라고도 하며, 사군자과의 낙엽 교목이다. 높이는 15-30미터이며, 초가을에 갈색의 열매인 가자(訶子)를 맺는다. 가자는 약간 특이한 냄새가 나는데, 약성은 쓰고 시면서 떫고 따뜻하다. 약재로서 기(氣...
    유형분류물품도구
  • 가자마쓰리 진사부로(風祭甚三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관리. 풍제심삼랑(風祭甚三郞).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셋쓰(攝津) 효교(兵庫)에서 고치소야...
    유형분류인물
  • 가자모토우라(風本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나가사키현(長崎縣) 이키시(壹岐市) 가쓰모토초(勝本町) 가쓰모토우라(勝本浦). 풍본포(風本浦). 이키노시마(壹岐島)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고, 에도시대에는 어업권만을 부여받아 고래잡이로 번영한 어촌이다.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중 마지막 1811년을 제외한 ...
    유형분류지명
  • 가전별초(駕前別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군인. 1637년에 사냥하는 포수 가운데 공이 많은 자와 투항한 왜인(倭人)의 자손 중에서 재능있는 자를 선발하여 별초무사(別抄武士)라고 하였다. 6개월 동안 궁술을 몇 차례 시험하여 그 점수를 계산하여 녹봉을 지급하였다. 처음에는...
    유형분류제도
  • 가주지(加州紙)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이시카와현(石川縣)의 남부 가슈(加州, 또는 가가(加賀)라고도 한다)에서 나는 화지(和紙). 일본명은 가슈시. 에도 시대에 가주번(加州藩)에서 만든 고급 종이로, 가하지(加賀紙)라고도 한다. 쇼군의 명령을 전달하는 문서에 사용되었다. 통신사 일행이 받은 사예단(...
    유형분류물품도구
  • 가죽베개[皮枕]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짐승의 가죽으로 만든 베개. 1764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부교(奉行)가 사예단(私禮單)으로 가죽베개[皮枕] 15개...
    유형분류물품도구
  • 가즈야마 지로에몬(數山治郞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수산치랑우위문(數山治郞右衛門). 쓰시마번 출신이며 1592년 개전 때 제6군(軍)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에 배속되어 통사로 일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가지야마 겐에몬(梶山源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임진왜란 때의 종군통사(從軍通詞). 미산원우위문(梶山源右衛門). 쓰시마번 출신으로 1592년 개전 때 제 1군(軍) 쓰시마도주 소 요시토모(平義智)에 배속된 10명의 통사 중 한명으로 종군하였다.
    유형분류인물
  • 가지야마 고자에몬(梶山五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전기의 관리. 미산오좌위문(梶山五左衛門). 1655년 정사 조형(趙珩)・부사 유창(兪瑒)・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하여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광산치제(日光山致祭) 당시 하급 무사[御目...
    유형분류인물
페이지 / 981 go